자주 들어가는 사이트인 KLDP에 다소 자극적으로 볼 수 있는 글이 올라왔다. 본 글 자체는 간단히 논의될 수 있는 글이지만 회원 중 한 분의 길다란 덧글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여러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이와 같이 사이트의 방향성과 맞지 않다거나 흐려진다거나의 얘기를 많이 봐 왔었는데 그런 경우마다 실질적인 논의보다는 감정적 대립이 격해져 결국엔 여긴 누구의 개인 사이트이고 정책의 방향은 일개 회원이 논할 부분이 아니란 식으로 매듭이 지어지는 경우를 자주 봤다. 그 이후에 탈퇴나 분위기 침체는 말 할 것도 없고, 강경하게 아이디를 차단해버리는 경우도 봤었다. 여튼, 본 글은 익명성 게시글에 대한 발제였으나 덧글을 읽다보니 웹서비스의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웹서비스의 정체성을 명확히 한다는 이야기는 무엇일까.
이 위에 내용까지 쓰고서 2011년 연말에 Draft로 저장해둔 글이다. 익명성에 대한 논의는 인터넷 실명제 위헌과 맞물려 익명성 자체의 해악은 크지 않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고 본다. 그건 둘째 치고 내가 이 글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누가 해당 웹서비스의 주인인가, 누가 그 서비스의 방향과 정체성을 정하고 꾸려나가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적고자 했던 것 같다.
이 글을 적기 시작했을 당시에 비해 지금 웹환경은 너무나도 달라졌다. 기존의 커뮤니티는 SNS라는 도구를 통해 개인 중심의 환경으로 급변했다. 여전히 한국형 커뮤니티인 포털형 카페는 건재하긴 하지만 확실히 개인 기준의 미디어가 더욱 강력해졌다. 아마 이 글을 쓸 때는 선장이 배가 어디로 갈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 식의 글을 쓰려고 했던 것이지만 요즘 분위기로는 일단 사람부터 가득 태워보면 자연스레 방향은 알게 된다는 쪽이 더 무게가 실리는 듯 하다. 빅데이터 분석이니 하는 부분들 말이다. 기업이 운영하는 웹서비스 입장에선 정체성이니 뭐니 일단 사람만 모으면 시장이 생기고 알아서 굴러간다는 식이 되겠지만.
여튼 답은 없다. 구체적이기도 하고 추상적이기도 해야 하는 방향성과 정체성에 대해, 지금은 많이 옅어진 커뮤니티에 달린 고대의 덧글(?)을 통해 한번쯤은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여담으론 저렇게 성토해줄 수 있는 회원이 있는 서비스는 감사해야 한다. 요즘처럼 서비스 범람의 시대에는 불편하면 안쓰면 그만인데. 아, 사람이 많이 쓰니 불편해도 그냥 군소리 없이 쓰는 경향도 있다. 그 군소리 마저도 빅데이터로 분석해서 업데이트에 반영한다니 세상 좋아졌다. 시대를 뛰어넘은 포스트라 뭔가 흐물흐물(?)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