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 Screenshot

iOS 앱 Tiny Tip Calculator를 만들었다.

계기

매번 식사를 밖에서 할 때마다 팁을 계산하는 모습을 보고 간편한 팁 계산기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앱스토어에서 받으려고 검색했는데 수많은 팁 계산기가 다음 부류였다.

  • 광고가 지나치게 많아서 사용성을 크게 해침
  • 결과를 보기까지 인터렉션이 너무 많이 필요
  • 그냥 안 이쁨

어떤 앱은 세 가지 모두에 해당했다. 그래서 간단한 앱을 하나 만들기로 했다.

도구 선정

집에 있는 모든 사람이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어서 iOS 앱을 만들기로 했고 무엇으로 개발할지 고민했다.

  • Swift는 일단 네이티브니 성능도 좋고 원하는 만큼 뜯어고칠 수 있겠지만 익숙하지 않았다. 물론 만들면서 배우는 것만큼 학습에 좋은 방식은 없지만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데 집중하고 싶었다.
  • React Native도 고려했다. React Native의 툴링도 좋고, 성능도 마음에 들고 예전보다 확실히 리소스가 많았다. expo.io도 멋지다.
  • Ionic은 Cordova와 Angular를 잘 섞은 프레임워크였는데 아무래도 웹앱이라서 성능에 대한 걱정이 들었다. 그래도 문서도 정리가 잘 된 편이었고 네이티브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도 많이 제공했다.

React도 계속 공부하고 써보려고 하고 있지만, 여전히 Angular가 익숙한 데다 생각보다 Ionic의 성능이 좋아서 Ionic으로 선택했다. React에 좀 더 익숙하다면 React Native를 고민 없이 선택했을 것이다. 결과물을 빠르게 보겠다는 생각 탓에 편향적인 결정을 내렸다.

개발 목표

개발하기 전에 다음 목표를 정했다.

  • 내장 키보드 말고 키패드 직접 만들 것, 계산기처럼 모든 기능이 보이도록.
  • 입력 횟수를 최소로 하기.
  • 팁 비율을 목록으로 보여줌. 비율은 프리셋 설정할 수 있도록.
  • 이쁘고 깔끔하게, 슬라이드 같은 것도 넣지 말고. 테마도 지원하면 좋겠음.
  • 앱처럼 보이도록!

개발 계획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정도만 문서를 봤고 Angular는 이미 익숙해서 평소 작업하듯 만들었다. 로직은 별문제 없이 만들었지만, 스타일에 수고가 많이 들었다.

전체적으로 페이지 수는 얼마 되지 않았다.

  • 계산 페이지
    • (계산 모드)
    • (결과 모드)
  • 설정 목록
    • 통화 및 팁 비율 설정
    • 테마 설정
    • 소개 페이지

Angular는 각 컴포넌트나 디렉티브, 모듈의 선언적 관리가 전체적인 코드 구성에 정말 편리했다. TypeScript와 함께 궁합도 너무 좋았다. 프레임워크 답게 전체적인 만듦새나 구조는 Angular가 확실히 더 이해하기 좋게 느껴진다.

앱에서 필요한 부분은 모두 ionic에서 제공하는 플러그인으로 충분했다. Storage 등도 이미 다 고수준으로 제공하고 있는 데다 angular에서 손쉽게 의존성 주입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Good & Bad

웹과 다른 흐름의 도구를 제대로 만들어서 결과를 낸 것은 처음이었다. 이 과정에서 좋았던 점은 다음 같았다.

  • 익숙한 도구를 선택해서 빠른 결과를 냈다. 첫 PoC를 만드는 데 하루 걸렸고 전체적으로 코드를 정리하고 작성하는데 3일 정도 사용했다. 테마 구현을 가장 고민했었는데 의외로 손쉽게 해결했다.
  • 다른 앱의 리뷰를 찾아보고 새로운 유즈케이스를 찾아 기능을 추가했다. 리뷰 중에 세금 불포함 계산 방식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반복되었지만 지원하는 앱이 거의 없었다. 그래서 해당 기능을 첫 릴리즈 이후 추가해서 배포했다.
  • 파워 유저(이자 아내)에게 빠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 실제로 앱을 사용하는 과정도 옆에서 볼 수 있었던 점도 새로운 경험이었다. 버튼의 위치나 세부적인 기능에 대한 조언은 앱에 반영되었다.

아쉬운 점도 있었다.

  • 익숙한 도구를 사용해서 기술 배경에서 크게 도전적인 프로젝트는 아니었다. 게다가 네이티브 환경이 아니라서 이쁘지 않은 부분이 계속 눈에 걸렸다. 예를 들면 스크롤바가 화면 밖에 걸쳐 있다든지 하는 부분은 하이브리드앱에서 흔히 겪는 문제다. 이런 부분이 크게 사용성을 해치는 상황은 아니지만 안 이쁜 건 계속 거슬렸다.
  • 테스트가 미흡했다. Ionic과 Angular 모두 테스트에 유리한 환경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는데도 테스트를 부지런히 작성하지 않았다. 빠르게 작성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좋은 품질을 유지하고 작성하는 일에는 소홀했다.
  • 수익성을 고려하지 않았고 프로모션도 하지 않았다. 다른 앱 리뷰에서 광고 얘기를 보면서 아예 광고를 생각하지 않았다. 지금이야 크게 나쁜 결정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지만, 애플 개발자 계정을 연장할 때면 왜 이런 결정을 했을까 생각 들 것 같다.

결과

이미 많은 앱이 존재해서 검색 목록 위로 올라가는 일조차 쉽지 않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결과물을 빠르게 냈다는 점에 즐거웠다. 그리고 작은 앱이더라도 옆에서 부지런히 쓰는 사용자가 있어서 재미있었다. 다음 또 앱을 만든다면 어떤 점을 미리 고려해야 하는지도 배웠다.


트러블 슈팅

iOS에서 overflow로 생성한 스크롤 부드럽게(?) 하기

스타일에서 overflow 프로퍼티를 적용하면 웹 페이지 내에 스크롤을 넣을 수 있다. 그런데 iOS에서는 그 스크롤을 써보면 일반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스크롤처럼 부드럽지 않고 뻑뻑하게 움직인다. 이 동작을 iOS의 기본 동작처럼 바꾸려면 다음 스타일을 추가로 넣어야 한다.

--webkit-overflow-scrolling: touch;

최근 모델의 notch 해결하기

이 스타일은 Safari만 지원한다.

먼저 웹뷰의 페이지에서는 기본적으로 상단의 스테이터스바를 안전 영역으로 처리한다. 그래서 고정 영역을 예로 들어 top: 0로 설정해도 스테이터스바 바로 아래에 자리를 잡는다. 화면 전체를 웹 영역에 넣고 처리하고 싶은 경우에는 viewport-fit을 viewport에 추가해야 한다.

viewport-fit은 다음 3가지 값을 지원한다. csswg 문서에 그림을 잘 그려놨다.

  • auto: 기본 값으로 아무 동작하지 않는다.
  • contain: 웹뷰 영역이 잘리지 않도록 디바이스 영역에 맞춘다.
  • cover: 디바이스 영역에 빈틈이 없도록 웹뷰 영역을 맞춘다.
<meta name="viewport" content="viewport-fit=cover, ..." />

이제 화면 전체 영역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스테이터스바 영역만큼 밀어야 할 필요가 생긴다.

header.global {
    padding-top: 20px;
}

하지만 이렇게 고정값을 넣으면 노치가 없는 기기에서 높이가 이상해진다. 이런 상황에서는 safe-area-inset-* 상수를 사용하면 된다.

heaader.global {
    padding-top: constant(safe-area-inset-top); /* iOS 11.0 */
    padding-top: env(safe-area-inset-top); /* iOS 11+ */
}

constraint()는 없어질 예정이며 이후로는 env()를 사용하면 되겠다.

CSS Grid

고정된 화면을 기준으로 각 컴포넌트를 배치하는데 css grid가 정말 편했다. vw, vhcalc()를 함께 쓰면 어떤 컴포넌트든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었다.

position: sticky

stickyposition 프로퍼티에 사용하면 필요한 요소를 고정으로 띄울 수 있다. 예전엔 위치 계산해서 fixed를 직접 설정해줬어야 했는데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다만 iOS에서 sticky에 배경을 지정해도 위에 1px 정도 아래 엘리먼트가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transform: translateY(-1px)를 추가해서 약간 비틀어서 해결되었고 GPU 가속이 동작해선지 약간 버벅이던 동작도 없어졌다.

:host-context()

하위 컴포넌트가 상위 컴포넌트의 스타일에 따라 스타일을 제어해야 할 때가 있는데 여기에 :host-context()를 사용할 수 있다. [theme]과 같은 디렉티브를 사용해서 부모 엘리먼트에 클래스를 추가하도록 했다면 :host-context()로 해당 클래스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 hello.theme.scss
:host-context(.theme--hello) {
    * {
        font-family: 'Arial Rounded MT Bold', sans-serif;
    }

    header {
        color: #ff00c3;
    }
    // ...
}

현재는 이렇게 만든 각 테마 scss를 한 곳에서 모두 불러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현을 다시 한다면 중간에 테마를 제어하는 컴포넌트를 ViewEncapsulation.None로 놓고 테마 스타일을 동적으로 불러오도록 처리하고 싶다.

오버 스크롤 끄기

하이브리드앱을 가장 하이브리드앱처럼 보이게 하는 동작 중 하나가 오버 스크롤이다. 이 동작으로 전체 레이아웃이 고정된 부분 없이 움직이면 앱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Cordova에서는 다음 속성을 config.xml에 추가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onfig.xml in the project-->
<preference name="DisallowOverscroll" value="true" />

Version API 만들기

최신 버전을 확인하고 새 버전이 있다면 업데이트를 하도록 작은 버튼을 띄워주고 싶었다. 예전엔 블로그용 서버가 있어서 코드를 작성해서 올리면 되었겠지만 이제는 정적 블로그를 사용하고 있어서 아무래도 제한되는 부분이 있었다. 요구 사항은 이랬다.

  • 적어도 response header를 제어할 수 있어야 함
  • 반환값은 하드 코딩이어도 큰 상관 없음, 디비 연동도 필요 없음
  • 비용으로 가장 저렴할 것 (연 5불 이하)
  • 인증 필요 없음
  • https 지원
  • 관리는 최소로

그래서 Azure Functions를 선택하게 되었다.

module.exports = async function (context) {
    context.res = {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body: {
            version: '1.1.4',
            tagline: 'New Theme: Mono',
            link: 'https://itunes.apple.com/app/tiny-tip-calculator/id1448227957?mt=8'
        }
    };
};

아쉽게도 현재 netlify에 물려 있는 도메인을 사용해서는 API 주소를 https로 사용할 수 없었다. Azure의 앱서비스 내로 도메인을 가져와야만 A 레코드로 사용할 수 있었고 CNAME은 https의 인증서에 문제가 있다고 접근이 되질 않았다. 큰 기능의 API도 아닌 탓에 그냥 기본으로 제공하는 azurewebsites.net의 서브 도메인을 사용했다.

Azure Functions의 비용은 앱 서비스 플랜과 종량제 플랜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는데 앱 서비스 플랜의 경우는 앱 서비스를 사용해서 function app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앱 서비스만큼 비용을 내야 하고 종량제는 쓰는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내 경우에는 크게 사용량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서 종량제 플랜을 선택했다.

하지만 종량제 플랜에서는 Cold start가 너무 느렸다. 앱서비스 플랜은 인스턴스를 계속 띄우고 있기 때문에 항상 빠른 응답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종량제 플랜에서는 Function app 호출이 특정 시간 동안 없을 땐 해당 코드가 구동되는 인스턴스를 없엤다가 호출이 있을 때 인스턴스를 다시 생성해서 코드를 올려 구동한다. 그래서 인스턴스가 올라와 있는 상황에서 호출하면 warm start로 응답이 100ms 미만으로 매우 빠르지만, cold start는 인스턴스를 올리는 것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 내 경우에는 코드가 의존성도 없고 매우 단순한데도 8초에서 22초까지 걸렸다. 비용은 코드를 실행해서 결과를 반환하기까지 시간에 대해서만 청구되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문제는 없었다.

현재 사용량이 상당히 적은 상태인데 이 문제 때문에 앱 서비스 플랜을 사용하고 싶지는 않았다. 그래서 해결 방법을 찾아보니 그냥 계속 살아 있도록 function을 호출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래서 5분 간격으로 function app을 실행하도록 Timer 트리거를 추가했다.

{
  "bindings": [
    {
      "name": "myTimer",
      "type": "timerTrigger",
      "direction": "in",
      "schedule": "0 */5 * * * *"
    }
  ]
}
module.exports = async function () {
    console.log('health checked');
};

만약 사용량이 많아지면 Azure Functions는 알아서 스케일링을 수행한다. 스케일링을 수행하면 새 인스턴스가 생성되면서 cold start가 다시 발생할 수 있지만, 현재는 두 API 모두 큰 자원을 소모하지 않고 있고 사용량도 적기 때문에 계속 warm start를 유지할 수 있었다. 만약 다른 인스턴스가 올라가서 다시 cold start가 감지된다면 그때는 앱 서비스 플랜으로 변경할 생각이다.

현재까지 비용 예측은 월간 $0.25 정도고 이조차도 Functions 호출 비용보다 코드가 저장된 공간인 스토리지의 비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빌드와 배포

빌드와 배포 과정에서 문제가 되었던 부분이 몇 있었는데 검색으로 쉽게 해소했다.

  • Xcode의 모던 빌드 시스템을 사용하면 문제가 생긴다. 빌드를 생성할 때 다음 플래그를 추가한다.
    $ ionic cordova build ios -- --buildFlag="-UseModernBuildSystem=0"
    
  • Xcode에서 **File > Project Settings...**에 들어가서 Build System을 Legacy Build System으로 변경한다.
  • Signing에 문제가 있다고 나오면 Automatically manage signing의 체크 박스를 해제하고 Xcode를 다시 실행해서 다시 체크한다.
  • 일반적인 암호화 외의 기능을 사용하면 앱 배포에 추가적인 절차가 필요하다. 하지만 단순히 API 호출에 HTTPS를 사용하거나 인증 절차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외에 해당한다. info.plistITSAppUsesNonExemptEncryptionNO로 설정한다.

기술 문서 번역 모임에서 2019년 1월 10일 첫 모임을 가졌다. 원격으로 발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 감사하다. 다녀온 분들 말씀이 다들 좋았다고 하셔서 현장에서 참여하지 못한 점이 더 아쉽다.

발표를 하기 위해 슬라이드를 두 번 만들었다. 처음 만든 슬라이드는 생각보다 내용이 너무 길어져버려서 랩이라도 하듯 슬라이드를 읽어도 분량이 도무지 줄어들지 않았다. 그래서 아예 새로 만들었는데 다시 보니 도구 얘기보다 너무 겉도는 이야기만 한 것 같아 아쉽다. 연습이 필요한 부분이다!


행사 정보와 발표자 슬라이드는 기술 문서 번역 모임: 번역 도구 이야기에서 볼 수 있다.

다음 모임 공지는 현우님 트위터에서 가장 먼저 접할 수 있을 것 같다.

WRITE THE DOCS 서울이 2019년 3월 23일 오후 2시 마루180에서 있다고 한다.


다른 발표 슬라이드 보면서도 적어두고 싶은 부분이 많았다.

  • 기술 용어 옮길 때의 책임: 독자가 내용을 명확히 이해, 좋은 번역 단어가 자리 잡는데 일조함
  • CAT 도구들: transifex, smartcat, OmegaT, RedPen
  • LibreOffice Writer 괜찮다고 하니 써봐야겠다.
  • 딴 생각 할 시간에 한 글자다로 더 번역하는 게 좋습니다.
  • 번역이 즐거운 이유: 간접 지식 체득, 뿌듯함
  • 성장하기 위한 번역 - 알아가는 즐거움 - 나누기 위해 내가 더 알아야
  • muchtrans.com (github)
    • 읽다보니 번역이 주는 경험이 게이미피케이션과 유사한 것 같다.
  • Django 공동 번역: GetText, Sphinx, Transifex
  • Notion 가이드 번역을 Notion으로 한 이야기. 파워 유저를 부르는 도구 너무 매력적이다.
  • 기계 번역은 아직 불완전해서 사람이 현재라고. MS Word, Google Docs, Trados, MemoQ, OmegaT
  • W3C와 Google의 문서 번역 경험. 주변에서 피드백 주는 사람 있는 것 너무 좋다.

6년간의 호주 생활이 끝났다. 여전히 멜버른에서의 커피가 그립다. 어디서 마셔도 (공항 빼고) 맛있는 커피를 마실 수 있는 멜버른은 맥심 커피믹스만 알던 내 커피 취향을 완전히 바꿨다. 매일 까다로운 날씨긴 하지만 항상 깨끗한 공기에, 사람들은 친절하고, 가까이에 맛있는 카페와 식당이 많았던 멜버른은 불쑥 생각날 때가 있다.

그래도 미국으로 와서 아내와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된 것에 얼마나 감사한지 모른다. 그동안 밀린 숙제하듯 함께 하고 싶었던 일을 했다. 소소하게 영화도 보기도 하고 주말에 함께 교회 다녀오고 카페를 가기도 한다. 그 사이 가족도 한번 다녀가서 오랜만에 온 가족이 함께 시간을 보냈다. 이곳으로 온 이후에는 어떻게 시간이 흘렀는지, 정말 순식간에 연말이 왔다.

매년 성장에 대한 불안감과 스스로에 대한 불신이 커지는 것 같아 아쉽다. 단순히 기술과 지식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과거의 나보다 인격적으로 성숙한 모습을 갖추고 싶은데 이도 쉽지 않다. 마음의 여유가 없는지 작은 것에도 항상 감사하게 여겼는데 예전의 내 모습과는 많이 달라진 것 같다. 내 모습에서 내가 원하는 모습을 찾지 못하다 보니 더 겉돌기만 한다. 이러면 안 되는데 하면서도 그렇다.

Dwight typed Dwight repeatedly

올해 나는 무엇을 했지요

여전히 무슨 공부를 할지,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고민이 많다. 방향을 쉽게 고르지 못하는 이유를 가만히 생각해보면 지난 기간 동안 벗어나고 싶던 일을 계속한 탓에 경험적으로 몸을 사리는 것 아닌가 싶다. 조금이라도 더 살펴보고 경험하고 도전해야 하는데 왜 생각만 하고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는지. 작년과 올해 내내 복잡한 일이 많아서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그래서 더는 스트레스받지 않아도 될 상황에도 관성적으로 불편한 마음이 계속 드는 것 같다. 이런 감정을 훌훌 털고 다시 부지런히 달리고 싶다. 달라지는 모습을 기대하고 또 그 변화를 간절히 바란다.

그리고 예전보다 감사하는 마음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감사하는 과정에서 지금 내 상황이 어떤지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긍정적인 인식과 방향을 만드는 데서 큰 힘이 되는 것 같다. 외부의 변화를 바꾸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나 자신이 어떻게 인식하고 반응하는가도 분명 중요하다. 새해에는 내 상황과 변화에 대해 감사하는 태도로 무장하고 싶다.

그래도 든든한 아내가 곁에 있어 얼마나 고마운지 모른다. 내 짐을 나눠 들어줘서 고맙고, 동시에 미안하다. 아내 곁에서 아내의 강인함을 배운다. 새해에는 아내만큼 단단한 사람이 되고 싶다.

2019년도 기대하고 감사함으로 달리자 💪

이 글은 April WenselTech has a Toxic Tone Problem — Let’s Fix It! 번역입니다.


2023년 5월 추가: 잇창명님이 이 글을 재번역해주셨습니다. 해당 글은 잇창명님 웹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술 업계의 독성 말투 문제, 고칩시다!

의사소통에 관해서, 특히 엔지니어가 연관된 경우라면 기술 업계에서 독성 말투 문제가 존재합니다. 저는 이 문제를 지난날 동안 주변에서 겪었기 때문에 알기도 하지만, 저도 이런 순간을 마주했을 때는 그 문제에 기여를 했었기 때문입니다.

먼저 말투(tone)는 "누군가 단어를 말하거나 쓸 때 표현되는 태도"라는 의미에서, 독성(toxic)은 "조직의 자산 또는 구성원을 포함해서 그 조직에 위해를 주는 것"이란 의미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일반적으로 뛰어난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갖고 있지 않다고 얘기합니다. 이런 경향은 여러 이유로 설명되기도 합니다. 전문 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간관계보다 컴퓨터와 더 많은 시간을 썼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성격이 프로그래밍에 가까워서 등으로 말이죠. 하지만 이런 대부분의 잠재적 이유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마지막 이유는 고정관념이기도 합니다. 게다가 엔지니어가 이런 문제점을 핑계로 주변 사람들에게 멀쩡한 사람처럼 행동하지 않을 구실로 삼을 수 없다는 점입니다.

엔지니어의 부족한 커뮤니케이션은 새로운 현상이 아닙니다. 제럴드 와인버그는 1971년에 프로그래밍 심리학에서 다음처럼 적었습니다.

프로그래밍에서는 엄청나게 똑똑할지 몰라도 자신의 지적 능력을 사용해서 자신의 사회적 행동이나 대화 방식을 고칠 수 있을 정도로 똑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 점은 단순히 팀 생산성을 망치는 일에 그치지 않습니다.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기술을 공부하는 사람들을 낙담하게 하며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기존 엔지니어의 의지까지도 꺾게 됩니다. 여기서 사회적 활동이란 스택오버플로우에 질문을 올리고 답변을 달거나 오픈 소스에 기여하는 활동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프로그래밍을 둘러싼 커뮤니케이션을 향상하는 일은 더 포괄적인 개발 커뮤니티를 만드는 일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지적하기 전에 먼저 이해를 제대로 하기 위해 살펴봐야 합니다. 저는 그동안에 이 말투 문제를 지켜보면서 세 가지 공통분모를 찾았습니다. 물론 이 사항은 완벽한 목록이라고 말할 순 없지만, 엔지니어만 이런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겪는 사람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이런 독성 말투는 일반적으로 거들먹거리는 말투, 기계적 말투, 또는 비관적인 말투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달콤한 독성 말투 비빔밥이라도 되는 것처럼 이 세 가지를 모두 섞어 놓은 때도 있습니다.

거들먹거리는 말투

어떤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면 아마 주변 사람들에게는 부족한 전문 지식을 갖게 될 겁니다. 나쁘게도 새로운 기술을 습득한다고 해서 그 기술이 없는 사람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까지 함께 따라오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과 대화하게 될 때 당신이 아는 만큼 알지 못하는 사람에 공감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면 거들먹거리는 녀석으로 보일 뿐입니다.

지미 펄론이 세러데이 나이트 라이브에서 했던 닉 번즈: 당신 회사의 컴퓨터 담당자를 본 적이 있나요? 닉은 따지고 보면 허구의 IT 전문가며 실제 세계의 프로그래머가 아니긴 하지만 극에서 묘사된 그의 행동은 놀랍게도 기술 업계에서 만연하게 볼 수 있던 거들먹거리는 말투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는 동료들이 다른 엔지니어나 인터뷰 대상자를 "종이봉투 뚫고 나올 간단한 방법조차도 프로그래밍하지 못하는" 그런 "멍청이"라고 부르는 경우를 수 년간 들어왔습니다. 초급 엔지니어가 질문했다고 눈을 부라리는 경우도 봤습니다. 부트캠프 졸업생이나 스스로 공부해서 프로그래머가 된 사람들을 평가하는 지적도 들은 적이 있습니다.

또한 많은 엔지니어가 말하는 방식이라든지 이들이 마케팅, 영업, 제품과 고객 응대에서 일하는 직원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를 봤을 겁니다. 엔지니어가 누군가를 "비개발자 (non-technical)"라고 언급했다면 그 사람들의 업무를 뭉개버리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얘기지만 저는 이 단어를 더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봅니다)

이런 거들먹거리는 태도는 항상 노골적으로 드러나지 않습니다. 다음 예제는 조금 교묘합니다. 누군가 스택오버플로우에 남긴 질문인데 온라인에서 한참 검색하기도 했지만, 이해에 어려움이 있어서 옵저버옵저버블 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물어봤습니다. 다음 답변은 100회 이상의 투표를 받은 답변입니다.

읽기 좋게 거들먹거리는 부분을 가져왔습니다.

난 이 내용을 어떻게 더 평범한 영어로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지금 위 내용에 정의가 있습니다. 딱 두 문장입니다. 10번 읽으면 더는 이해할 것도 없을 것 같은데요.

질문에 답변하는 사람은 용어의 차이가 명확해서 어떻게 이걸 이해하기 위해 더 "평범한 영어"로 설명해야 하는지 상상조차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질문을 남긴 사람은 이 답변으로 어떤 기분이 들었을지 궁금하게 합니다. 질문자가 이 답변에서 응원을 받은 기분이거나 답을 읽고 더 자신감을 느끼게 되었을 거라고는 상상되질 않습니다. 이 문답이 충격적이라는 점을 트위터에서도 마주할 수 있었습니다.

운 좋게도 누군가 커뮤니티에서 답변을 수정할 수 있는 사람도 트위터 토론을 봤는지 거들먹거리는 서두를 지워서 유용한 답변으로 바꿔놨습니다. 커뮤니티 구성원 모두가 친절함에도 가치를 둬서 투표를 따라 줬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근본적으로 어떤 경우든 거들먹거리는 말투 뒤에 숨어 있는 태도는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다 모르지만 나는 알고 있다. 내가 우월하기 때문에 그들을 굳이 존중할 필요가 없다."와 비슷할 겁니다.

이런 태도는 위험합니다. 죄와 벌에 나오는 라스콜니코프의 "초인" 콤플렉스를 연상하게 합니다. 이 사람은 스스로를 다수인간 위에 있는 법적 존재인 소수인간이라 여기고 다른 사람을 살해하기에 이릅니다.

물론 이처럼 극단적인 경우를 다루지는 않지만, 여전히 이런 사람은 우리 개발팀에 있는 것은 건강하지 않습니다. RailsBridge를 창업한 사라 메이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직원의 보이지 않고 조용한 반사회적 행동에서 비용이 발생합니다. 그런 사람들의 비범한 생산성보다 정! 말! 큰 비용을 지출하게 합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무엇일까요?

평화적인 대안

먼저 대표직에 있다면 거만하거나 거들먹거리거나 공격적인 행동에 대해 보상하는 일을 중단해야 합니다. 개념을 진정으로 숙련했다면 경험이 적은 사람에게 더 간단한 용어를 사용해서 개념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행동이 보상을 받아야 하는 행동입니다.

개인 수준에서는 무얼 할 수 있을까요?

동료가 도움을 받고 싶어서 하는 질문에서 본인이 잘 아는 분야라고 생각한다면 스스로 무언가 거들먹거리는 내용을 말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내가 이런 답변을 누군가에게 들었을 때 어떤 기분이 들까 하고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합니다. 사용하는 단어가 듣는 상대의 기분을 상하게 하나요 아니면 좋게 하나요? 정말 그 사람보다 더 잘 알고 있는 게 맞나요? 더 알고 있다는 점이 상대에게 예의 없게 행동해야 한다는 의미인가요? 상대방도 당신이 모르는 부분을 더 잘 알 수도 있지 않을까요? 단순히 동일한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보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당신이 대화하고 있는 사람이 정말로 해당 주제에 대해 무지하다고 가정해봅시다. 상대방이 문제를 이해하는데 얼마나 어려움을 겪을지 상상해봅니다. 이해하는 동안 겪는 고통에 동정심을 갖고 그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려면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살펴봅시다. 자신이 이 주제에 대해 처음으로 배우던 당시를 생각해본다면 어떻게 알려줘야 하는지 생각하는데 도움 될 겁니다. 어떤 점이 도움이 되었습니까? 다음을 고려해보세요.

  1. 어떤 질문들을 하고 있었고 가장 유용한 답변은 어떤 답변이었습니까?
  2. 어떤 자료가 이 문제를 이해하는데 있어 추가적인 관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까?

또한 자기 자신에게 인정을 베풀기 바랍니다. 이 사람을 도와주는 일이 에너지를 소비하나요? 만약 그렇다면 좀 쉬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도와줄 수 있는 다른 사람은 없나요? 이 문제를 다루는 데 도움이 되는 연관 자료가 있나요? (주의하세요: "대신 구글링 해줄게" 링크를 보내는 일은 일반적으로 거들먹거리는 거나 다름없습니다. 상대방이 농담으로 받아들일 것이라는 확신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말입니다.)

스스로 이런 행동을 한다면 당신의 동기(motivation)를 확인해보세요. 사실, 이 지식에 대해 약간 불안전하게 느껴서 그런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있지 않나요? 자신의 자아를 방어하기 위해서 거들먹거려야겠다는 유혹을 받는 것은 아닌가요? 정말 이런 문제로 그렇다면 스스로를 채찍질하지 않기 바랍니다. 기술 산업에 있는 면접과 직원 보상 시스템은 주로 부풀려진 자아를 선호하기 때문에 아마도 이런 태도가 당신의 잘못만은 아닐 겁니다. 그러므로 조금의 자기 성찰로 무언가 공격적인 말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거들먹거리는 응답 대신에 연민이 있는 응답을 할 수 있다면 듣는 상대방도 기분 상하지 않아 당신과 함께 일하기 즐겁게 여길 것입니다. 올리비아 폭스 카반의 저서 The Carisma Myth(카리스마, 상대를 따뜻하게 사로잡는 힘)에서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1886년, 한 여성이 두 명의 영국 총리 후보와 각각 저녁 식사를 했습니다. 이 여성이 저녁 식사에서 언론에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글래드스턴 씨와 저녁 식사를 한 후에는 그가 영국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디즈레일리 씨와 저녁 식사를 한 후에는 제가 영국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말할 필요도 없이 궁극적으로 디즈레일리가 선거에서 승리했습니다. 어떤 타입의 사람이 되고 싶은가요? 거들먹거리며 당신의 우월함을 자랑하는 사람이 되고 싶은가요? 아니면 다른 사람들의 가능성을 일깨우는 데 도움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은가요? 단순하게, 당신은 어떤 타입의 사람과 일을 하고 싶은가요?

이 주제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책 The No A**hole Rule(또라이 직)을 확인해보세요.

기계적 말투

"안녕 패트, 네 사촌이 죽었다."

이 메시지는 제가 사랑하는 할머니가 제 유년 시절에 자동 응답기에 남긴 메시지입니다. 목소리에 억양도 없었고 요점을 전달하는데 감정적 수사 여구도 없이 단순히 효율적인 사실만 전달하는 말이었습니다. 저는 할머니의 직선적인 태도를 물려받았다고 생각합니다.

아쉽게도 모두가 감정 없는 직선적인 태도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앞서 이야기한 것과 같이 저 또한 기술 분야의 독성 말투 문제에 기여를 했는데 이 로봇 같이 행동하는 문제가 바로 제 약점이기도 합니다.

엔지니어로서 컴퓨터를 다루면서 일반적으로 주의 깊게 사람의 감정을 고려하는 것처럼 행동하지 않습니다. 컴퓨터에게 매우 직선적으로 무엇을 할지 이야기하면 컴퓨터는 명령을 처리합니다. 아름답게 효율적이고 논리적인 흐름입니다. 아마 이런 특징이 많은 사람으로 하여금 엔지니어링에 첫눈에 반하고 빠지게 하는 그런 부분일 겁니다.

좋든 나쁘든 간에 컴퓨터와 사람은 동일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감정이 있습니다. 상대가 어떻게 받아들일지 고려하지 않고 사실을 직접 공유할 수 없습니다. 제 말은 물론 그렇게 직접 공유할 수 있긴 하겠지만 그러면 당신에게 "거칠다" 혹은 "직설적"이라는 이름표가 붙게 됩니다. (저를 믿으세요.) 인간에게 기계에 말하듯 한다면 사람들 대부분은 당신과 일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을 겁니다.

저는 제 할머니에게 감사하기도 합니다. 저는 이런 직선적인 태도가 엔지니어에게는 자산이 될 수 있다고 항상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엔지니어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말입니다.) 하지만 말을 듣는 청중을 주의 깊게 생각하는 일, 어떻게 말을 전달해야 하는지 그 모양을 다듬는 일이 중요하다는 점에 저는 동의하게 되었습니다.

중대한 순간에 웹사이트가 닫히게 되었다고 가정해봅시다. 지금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는 확신을 보여주지 않고 직설적으로 이 소식만 전달한다면 아마 회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사람이 될 수는 없을 겁니다. 이런 종류의 뉴스도 기계적인 말투로 전달한다면 당신의 고객과 제대로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또한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최소한 고객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인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기계적 말투는 피드백을 전달하는 과정에서도 문제입니다. 직접적인 피드백을 좋아한다고 여러 차례 언급한 디자이너와 함께 협업한다고 상상해봅시다. 이 디자이너는 지금 함께 작업하고 있는 애완동물 관리 앱의 가장 최근 목업(mockup)에 대해 조언을 구했습니다. 사용자의 애완동물 정보를 볼 수 있는 상세 페이지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이 목업에는 디자이너의 고양이, 닐에 대한 통계가 표시되고 있습니다. 페이지 상단에는 "당신" 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습니다. 대략 다음 같은 화면이지만 훨씬 멋지다고 생각해봅시다.

이 디자인을 본 후에 시나리오를 논리적으로 생각해보면 이렇게 말하게 될 겁니다. "이 화면의 제목은 애완동물에 대한 하위 페이지라면 적어도 '당신의 고양이' 또는 '당신의 애완동물' 아니면 '닐'이 되어야 하지 않나요?" 논리적이기도 하고 제목이 페이지 가장 위에 있으니 가장 먼저 보이기도 하니 이런 지적을 가장 먼저 할 수 있을 겁니다.

이제 디자이너와 좋은 관계가 있거나, 디자이너가 스스로 능력에 자신감이 있거나, 기분이 좋은 날이거나, 정말 앞서 말한 것처럼 직접적인 피드백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디자이너는 오류를 지적한 점에 고마워하고 제목을 갱신하는데 동의할 겁니다. 아니면 왜 여기서는 이런 제목이 맞는지 기쁘게 설명할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모든 상황이 잘 맞아서 돌아가지 않았다고 생각해봅시다. 먼저 디자이너가 그동안 디자인을 하면서 공들인 부분을 알아주지 않고 어떤 부분에서도 이 디자인의 장점을 언급하지 않으며 가장 먼저 문제를 딱 집어내서 그다지 기분이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스스로는 효율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왜 디자인에서 올바른 부분을 이야기하거나 잘못된 부분에 대해 조심해서 얘기하면서 시간을 낭비해야 하죠? 그냥 바뀌어야 하는 부분을 직접 집어 말해줘서 빠르게 고치는 게 뭐가 잘못인가요? 음, 사람들은 감정이 있고 그 감정은 생산성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상대방의 강점을 인지하지 않고 상대의 잘못을 냉담하게 지적한다면 상대방은 위협으로 느낄 수도 있으며 생산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데이비드 록은 다음처럼 설명합니다.

위협적인 응답은 분석적 사고, 창의적인 통찰, 문제 해결력을 훼손합니다.

즉,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방식이 고통스러운 감정의 원인이 되고 실제로 팀의 발목을 붙잡는 일이 됩니다.

코드 리뷰에도 동일합니다. 만약 누군가의 오류를 억양 없이 지적하는 일은 역효과를 낳아 상대방의 열정을 죽이고 성장해야겠다는 동기를 짓누르는 일이 될 수 있습니다.

평화적인 대안

단순히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만 갖고 거만한 녀석이 되는 일을 멈추기 바랍니다. 대신 팀에 긍정적으로 협력하고 진정성을 갖고 지원하기 바랍니다. 긍정적인 감정으로 팀의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최고의 영감을 줄 수 있을지 고민하고, 팀원이 고통받지 않도록 하는 일까지 한 단계 앞서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기계에 대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대화한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카렌 암스트롱은 다음처럼 경고했습니다.

"만약 자비로움과 공감이 제련되어 있지 않다면, 이성은 인간을 도덕적 공허로 이끌 수 있습니다."

피드백으로 돌아와서, 여기에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기법은 진정성 있는 질문에 의지하는 방법입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애완동물 앱의 예제 피드백은 "하지 않나요?"로 끝나고 있습니다. 문장은 질문의 형식을 빌리고 있지만 평가하는 문구에 가깝습니다. "이 화면의 제목 선택에 관해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정도가 더 나은 선택지가 되겠습니다.

또한 비판적인 피드백도 긍정적인 피드백과 함께 제련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샌드위치" 기법으로 피드백을 주는 것을 좋아하기도 합니다. 먼저 칭찬할 점을 언급하고, 건설적인 비판을 제공한 후 또 다른 칭찬을 합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저 자신을 포함해서) 투명하게 보고 요점만 말하길 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도 이 조언에 저항하는 데 참여할 수 있습니다. 제 경력 대부분 동안 이 조언에 저항했기 때문입니다. 어린 에이프릴은 "뭐, 사람들이 진실을 대하는 방법에 대해 배워야 할 뿐이라고" 같은 말을 했었습니다. 아마 제 그런 과거에서 저항하려는 이유가 있을 겁니다. 하지만 사람들과 강한 관계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서로 굳은 신뢰 관계(rapport)가 없는 사람과 직설적인 의사소통을 한다면 부적절할 수 있습니다. 저는 또한 진정으로 자아 없는 프로그래밍과 제품 개발도 염두에 두는데 이런 경우에는 피드백은 직접 줄 수 있을 겁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론적으로) 자아가 없기 때문이죠.

그리고 사람 일은 모르는 법입니다. 직접적인 피드백을 줘도 잘 받는 누군가가 있다 하더라도 그 피드백을 받는 그 날에 그 사람의 개가 죽었다면 평소처럼 받지 못하고 무너질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어느 때라도 소통하는 사람들의 감정에 당신의 말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차라리 없다고 생각해야 맞습니다.

비관적 말투

마지막 독성 말투는 비관적 말투입니다. 먼저 저는 회의적인 입장도 어느 정도 팀에 존재하는 것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편이라서 그런 경우는 문제가 아닙니다.

문제는 거의 모든 창의적인 새 아이디어, 도구, 접근 방식에 대해서 비관적으로 대하는 경우인데 "다 본 적이 있다"고 말해서 씁쓸하게 만드는 시니어 엔지니어 같은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런 건 정말 다 최악입니다.

"그거 동작 안 할 거야."

"그거 확장 안될 거야."

"그 새 도구는 그냥 예전 것만큼 별로야."

어떤 이유에서인지 어떤 엔지니어는 종종 전 USC 총장인 스티븐 샘플이 말한 "습관적 반대론자"에 속하기도 합니다. 그는 다음처럼 설명합니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어떻게 동작 가능할지 상상하는 일보다 이들은 본능적으로 왜 안 되는가에 대한 온갖 이유를 생각합니다. 이 사람들은 이런 태도가, 나쁘거나 멍청한 아이디어에 쓰는 모든 사람의 시간을 아낀다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사람들이 실제로 하는 일은 자유로운 생각에서 수확할 수 있는 창의력을 침식하는 일입니다."

엔지니어가 비관주의의 매력을 느끼는 이유가 두 번째 문장에서 정확하게 묘사되고 있습니다. 시간을 절약하는 것 말입니다. 당신의 비관주의적 예측이 옳다면 그들의 아이디어를 거부함으로 모든 사람들의 시간을 잘 절약하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일이 너무 자주 일어나면 엔지니어는 그 아이디어가 정말 실패할지 잘 모르는 상황에서도 작은 확신이라도 있으면 아이디어를 거절하게 됩니다. 모든 사실을 검증하기도 전에 판단을 내립니다. 아마 과거에 비슷한 접근 방식이 실패한 것을 봤을 수도 있습니다. 또는 수많은 불필요한 프로젝트 관리 도구를 지난 기간 동안 봐서 어떤 새로운 도구든 제대로 동작할 거란 상상을 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매번 위키를 도입하려고 시도했지만, 팀이 계속 관리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에도 별다르지 않을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이 모든 경험은 엔지니어가 팀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제안이 실패할 것이라는 결론에 즉각적으로 닿지는 않습니다. 과거의 데이터를 알려주면서 거기에 한숨과 부정적인 말투를 더할 필요는 분명 없습니다.

아마 과거 프로젝트에서 레일즈를 사용하면서 한 번의 나쁜 경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 한 번의 경험으로 나쁜 도구라고 말할 순 없습니다. 아마도 당시 상황에 맞지 않았거나 팀이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있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 많은 프로젝트의 실패를 봐 온 엔지니어라면 실패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런 엔지니어는 그들이 말하는 모든 것에 일반적인 부정론을 투영하기도 합니다. 팀을 막다른 골목에 들어가서 시간을 낭비하는 일을 구하기 위해 매번 반대하는 말을 하게 되면, 아마 팀의 의욕을 꺾고 달콤한 실험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10배는 될 겁니다.

또한, 위험할 수도 있는 부분은 새로운 엔지니어가 이런 독한 기운을 뿜는 엔지니어를 경외하기도 한다는 점입니다. 이런 이유의 배경을 짐작해보면 모든 것에 불평하고 반대하는 것 보면 분명 모든 걸 다 알기 때문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모든 부분이 악순환입니다.

Sidenote: 흥미롭게도 이런 엔지니어는 의외로 낙천적인 경향이 딱 한 주제에서 나타나는데 바로 작업을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이런 낙관주의적 경향의 주된 결과는 한심할 정도로 현실적이지 못한 시간 예측입니다.

평화적인 대안

엔지니어가 실패에 대한 가능성을 볼 수 있다면 유용할 겁니다. 이런 관점이 버그와 다운타임, 보안 문제를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성공의 가능성과 잠재적인 부정적 결과를 발견하는 능력에 균형을 찾는 일은 진정 주의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숀 머피의 The Optimistic Workplace 설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뇌는 기쁨과 같은 긍정적 감정에 열리게 될 때, 전체적인 연결성을 명확히 볼 수 있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선택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통계도 인용합니다.

"긍정적인 업무 환경에 있는 사람들은 부정적인 분위기에서 일하는 사람보다 10~30% 더 나은 결과를 냈습니다."

아이디어를 내리깎고 새 프로젝트의 실패를 예측하기 전에 스스로 물어보세요. 정말로 이 아이디어가 실패한다고 확신하나요? 볼테르가 확신에 대해 한 말을 기억하기 바랍니다.

"사기꾼만 확신에 차 있습니다. ... 의심이란 그다지 바람직한 상태가 아닙니다. 하지만 확신이란 얼토당토않은 상태인 것입니다."

확신하지 않으면서 왜 확신한 것처럼 말할까요? "그거 동작 안 할 거야"는 정말 당신의 응답으로 필요한 말일까요? 이런 대답 대신에 공손하게 어떤 걱정이 있는지, 과거에 팀에서 어떤 경험을 했는지 공유하는 것은 어떨까요?

만약 정말 그 비운의 아이디어가 실패한다고 확신 한다면 먼저 볼테르의 말을 다시 읽어보고, 자신의 의심을 나머지 팀원에게 의욕을 꺾지 않는 방법으로 어떻게 소통할지 고려하기 바랍니다. "맞아요, 그리고...?"로 그 응답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맞아요, 그 아이디어가 뛰어난 이유를 알겠어요. 그리고 이 아이디어는 이런 다른 맥락에서 더 좋은 이유가 있어요." 또는, "맞아요, 흥미로운 아이디어네요. 그리고 아마도 몇 달 후에 Y를 달성하고 나면 그 아이디어가 더 실현할 수 있겠네요." 식으로 답할 수 있을 겁니다.

여기에 자신에게 자비로움을 베풀어 도움을 구할 수 있는 시간이 또 있습니다. 다른 무언가로 인해 괴로워하고 있고 그 고통이 제안된 아이디어에 대해 반대하는 진짜 원인인가요? 그냥 피곤한가요? 먼저 본인에게 있는 개인적인 필요를 돌봐야 합니다. 그리고 그 아이디어를 여전히 반대하는지 살펴보기 바랍니다.

그리고 회사의 사명과 자기 자신의 사명을 다시 상기하는 일도 도움 됩니다. 왜 이 프로젝트에 지금 일하고 있죠? 무엇이 희망을 주나요? 그 희망을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열린 마음으로 이어갈 수 있나요?

항상 모든 일이 완벽하게 잘 될 것이라고 가장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새 아이디어에 대한 열린 태도는 진정으로 혁신적인 작업을 하기 위한 전제조건입니다. 또한 당신을 더 즐겁고 타인을 지지해줄 수 있는 동료로 만들 것입니다.

미래

"컴퓨터 프로그래밍은 인간 활동입니다. ... 하지만 아직도 ... 많은 사람들(많은 프로그래머들)은 프로그래밍을 인간 활동으로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제럴드 와인버그는 1971년에 이 글을 썼지만, 여전히 이런 인식이 존재합니다. 제 생각에는 엔지니어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이 주목받을 가치가 있습니다.

우리가 아름다운 소프트웨어 걸작을 만드는 일을 사랑하는, 뛰어난 엔지니어라면 그와 동시에 친절하고 자비로운 사람들로 서로를 돕고 말과 글로 의사소통을 할 때는 서로의 단어로 영감을 불어넣는 사람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저는 기술 업계의 더 밝은 미래를 그립니다. 모든 종류의 독성 말투를 버리고 대신에 긍정적이고, 겸손하며, 희망차고, 명확하며, 초대하는 것과 같은 말투를 받아들인 미래를 말입니다. 왜 초대하는 것과 같아야 하는가 하면 알다시피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것을 모두 만들려면 우리에게 더 많은 엔지니어와 기여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프란 앨런의 Coders at Work 인터뷰에서 말하는 엔지니어링처럼 말입니다.

"엔지니어링은 사회 전체를 위한, 변혁적인 분야입니다. 또한 우리가 하는 일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참여 없이는, 우리 사회의 모든 측면에서 매력적이거나 유용하지 않은 결과를 얻게 됩니다."

그러므로 진보적인 관점에서, 불필요하고 자아 중심적인 부정성 때문에 다른 누군가가 겁먹지 않도록 조심합시다.


  • 2018-12-12: 직진적직선적으로 변경했습니다. 버블쓰님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 2018-12-12: 현명이라고 생각했습니다가장 현명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으로 변경했습니다. minieetea님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 2018-12-13: 잘못 걸린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정겨울님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 2018-12-13: 제럴드 와인버그의 인용을 수정했습니다. chiyodad님, lazygyu님, jinhoyim님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 2019-07-16: 지정지적으로 고쳤습니다. 아델라님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번역가 되는 법이란 제목이 눈에 확 들어와서 집었다. 내 번역 끈은 짧지만 조금씩이나마 글을 번역해서 올리는 입장에서 좀 더 전문성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제목만 보고 그런 생각을 하며 이 책을 구입했다.

그동안 접했던 번역 도서는 번역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뤘는데 이 책은 실무적 이야기가 중심이다. 출판 시장에서 번역가는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업무는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전반적인 그림을 보는데 도움이 된다. 얇은 책에 판형도 작아서 읽는데 전혀 부담이 없는 분량이지만 업계에 오랜 기간 다양한 위치에서 경험을 쌓은 분답게 깊이가 느껴졌다.

잘 읽히지 않는 책에서만 번역가의 존재가 들어난다는 이야기부터, 번역가가 되기 위해서 어떤 배경과 자질을 갖춰야 하는지, 삶을 잘 배분해 규칙적으로 번역하는 번역가의 일상, 원서와 저작권, 출판사와 편집자의 역학 관계를 세세하게 보여주기도 한다. 의역과 직역에 대한 고민도 빼놓지 않았다. 번역을 하고 싶은 사람이든 하고 있는 사람이든 공감하고 읽을 부분이 참 많다.

아르바이트를 병행해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어떤 아르바이트를 해야 하는지 지극히 현실적인 부분부터 그래도 번역에서 자유를 느낀다는 이야기는 내 스스로도 무슨 일을 할 때 이런 자유함을 느끼고 있는지 생각하게 했다.

저의 과거와 현재의 삶 그리고 그 삶 속에서 실천해 온 노력으로 새로운 창조물을 만들며 자유의 희열을 느끼게 해 주는 이 작업이 무엇보다 소중합니다. - 128쪽

무엇을 만들어내는 감각은 분야를 막론하고 사람을 일에 빠지게 하는 원동력이 되는 것 같다.

지난달 Hacktoberfest 2018이 열린다고 트위터에서 알게 되었다. 이번이 5회차라고 하니 여러 해 있던 행사인데 어떻게 한번도 몰랐나 싶었다. 그동안 몇 달 코드를 작성할 일이 전혀 없어서 나는 정말 개발자인가 😢 싶을 정도였는데 오랜만에 코드를 작성해서 즐거웠다.

PR을 보내며 느낀 점, 더 배우고 싶은 부분을 적어야겠다 생각했었다. 그런데 월 중순부터 여행을 다녀온 이후로 정신이 없어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오늘 참여 기념품이 덜컥 도착했다. 더 잊기 전에 짧게라도 작성하려고 한다.

I just got a package from #Hacktoberfest! 😊😊😊

참여 방법은 간단했다. 10월에 GitHub을 통해서 5건의 Pull Request를 보낸다. 물론 몇 가지 품질 표준으로 제시한 내용(빈칸 고치기 같은 것을 스크립트로 돌리지 않는다, 다른 사람의 코드로 PR을 보내지 않는다거나 하는 등)에 맞춰야 했다.

보낸 Pull Requests

원래 hacktoberfest에서 PR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끝나서 그런지 더는 해당 페이지를 제공하지 않는 것 같다. 분명 접근할 수 있을 텐데 주소를 찾지 못하겠다. 대신에 Hacktoberfest Checker에서 보낸 PR을 확인할 수 있다.

geokrety/geokrety-website

"label:hacktoberfest"로 검색하던 중에 찾은 리포지터리다. php로 만든 geocaching 웹사이트인데 php도 할 줄 알고 geocaching도 좋아하는 주제라서 더 살펴보게 되었다. 코드가 엄청 깔끔하진 않지만, 이슈 내용으로는 내가 쉽게 도울 수 있는 부분이라서 코드를 보냈다.

코드 내에서 영어가 아닌 폴란드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예를 들면 search.php가 아니라 szukaj.php라는 파일명을 쓰거나 변수명이 name 대신 nazwa를 사용한다. 테이블 이름도 테이블 필드명도 부분마다 그랬다. (그래도 영어와는 다르긴 하지만) 알파벳을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큰 어려움 없이 프로그래밍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여기서 구글 번역기의 힘이 크게 도움 되었다.

만약 반대 관점에서 한글을 로마자로 작성한 경우라면 어떨까? 가끔 용어 적절성 등의 이유로 한국어를 영어로 옮기지 못하는 경우를 종종 마주하기도 했다. 그렇다고 한글을 직접 사용하지 못하고 로마자 표기법대로 변환해서 사용하게 된다. 한국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 이런 코드에 기여한다고 상상해보면 전혀 알 수 없는 단어를 번역기에 넣기 전에 일단 로마자-한글 변환을 해야 한다는 점부터 알아야 하는데 그렇게 쉽지는 않다. 이런 생각을 하니 폴란드어가 조금은 부러워졌다.

만약 이런 한글-로마자 변환을 써야 하는 경우라면 CONTRIBUTING.md 같은 곳에 어떻게 변환하고 찾아야 하는지 정리해주면 좋겠다. 별도로 glossary 페이지를 작성하는 것도 공수가 들긴 하겠지만 도움이 될 것 같다.

docker-compose가 들어있긴 했지만, 생각처럼 한 번에 돌지는 않았고 내 환경에 맞춰서 수정해야 했다. 그래도 어디를 보고 수정해야 하는지도 INSTALL.md에 문서화되어 있어서 다행이었다.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php 웹사이트라서 보안도 그렇고 고쳐야 할 부분이 많이 보였다. 일단은 이슈 중심으로 PR을 보냈고 시간대 차이 덕분에 빠르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

totuworld/time-recorder-viewer

어디 기여할 곳 없는가 기웃거리고 있었는데 totu님이 리포지터리 주소를 던져주셨다.

작업시간 기록 도구인 time recorder의 웹 뷰어인데 typescript로 작성하셔서 보는 재미가 있었다. typescript를 프로젝트에서 사용해본 적이 없었는데 express.js에 asp.net mvc처럼 쓰고 있어서 신기했다. react도 그렇고 너무 화려하다! 얼른 부트스트랩 프로젝트로 뜯어서 공개해주셨으면 좋겠다. 😇

어디에 기여해야 하는가 생각하며 코드를 보다가 쓰지 않는 파일이 있길래 파일을 제거하는 PR을 보냈다. 품질 표준 기준에 미치지 않는 것 같아 좀 찔린다. 하하하...

gatsbyjs/gatsby

Gatsby는 React 기반의 사이트 생성기다. 얼마 전에 이 블로그도 Gatsby로 옮겨와서 익숙한 이름이기도 했고, 커뮤니티 분위기라든지 너무 좋은 프로젝트라 뭐라도 기여하고 싶었었다. 문서화도 정말 잘 되어 있어서 환경도 쉽게 구성해 시작할 수 있었다.

단일 리포지터리를 쓰는 프로젝트는 처음 봐서 이걸 여기에 이렇게 보내는 게 맞나 싶었다. 이슈는 온갖 다양한 주제로 가득했고 PR도 어떻게 담당하는 사람을 찾아가는지 대단하다 싶었다. 그래도 모든 창구가 단일화되어 운영되는 것이 오히려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도 쉽고 다른 의존적 코드를 참조하거나 찾는 일도 쉬웠다. 처음 리포지터리를 받아서 테스트를 돌리는데 리포지터리 내에 있는 모든 패키지가 교통정리 되면서 모든 테스트가 한꺼번에 진행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구조적인 장점 때문인지 몰라도 그동안 봤던 어느 프로젝트보다 많은 CI가 달려 있었다. 코드를 작성하면서 단일 리포지터리의 좋은 점에 언급된 장점 대부분을 몸소 느낄 수 있었다.

Gatsby의 단일 리포지터리는 lerna를 사용해서 운영되고 있다. lerna를 처음 봤을 때는 왜 이런 수고를 하지 싶었는데 실제로 운영되는 모습을 보고 나니 역시 나는 하나도 모르는구나, 탄식했다. 조만간 사용해보고 싶다.

이 블로그에 아직 한국어 포스트만 많은데 영어 포스트도 할 생각으로 영어 포스트와 한국어 포스트의 RSS 피드를 따로 생성하고 있었다. RSS 리더기는 대부분 웹사이트를 등록하면 rss 주소를 찾아내는 auto discovery 기능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link>title을 읽어 해당 피드의 이름으로 사용하는데 gatsby의 gatsby-plugin-feed는 이 필드를 설정하는 부분이 없었다. 그래서 이 부분을 추가해서 코드를 보냈다.

Gatsby에서 gatsby-config.js플러그인을 설정하고 용도에 따라 플러그인 내에 gatsby-*.js를 읽어가는 부분이 흥미로워서 관심 있게 살펴봤다. 플러그인도 그렇고 확장성을 염두에 두고 메시지 기반처럼 작성된 부분이 많았다.

그리고 jest를 테스트에 사용하고 있는데 스냅샷 테스팅이 두루두루 적용되어 있었다. 처음 __snapshots__ 디렉토리를 보고 의아했는데 찾아보고서는 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참고로 Gatsby는 기여를 하면 Gatsby Store에서 사용할 수 있는 $10 쿠폰을 준다! Hacktoberfest가 시작되기 전에 문서에 있던 잘못된 링크를 고친 적이 있었는데 이때 받은 쿠폰으로 재빠르게 스티커랑 티셔츠를 샀다.

I regret everything

내 웹사이트 니꺼보다 빠름 💜

짧게는 행동으로, 길게는 영향으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커뮤니티는 우리 이전의 사람들 덕분에 지금 자리에 있을 수 있습니다. 당신의 참여는 10월(Hacktoberfest) 이후에도 많은 사람과 기술에 지속적인 영향을 줍니다. 이 과정은 경쟁이 아닌 여행입니다.

Hacktoberfest의 가치

몇 안 되는 사소한 코드긴 했지만 hacktoberfest를 기회로 오픈소스에 참여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 항상 사용자 입장에 있던 탓인지 언제든 이슈를 열고 PR을 보낼 수 있는 시대가 되었어도 참여는 늘 멀게만 느껴졌다. 겨우 몇 개의 PR을 작성했을 뿐이지만 앞으로는 무슨 코드든 마음 편하게 작성해서 보낼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오픈소스를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방식, 라이브러리와 패키지, 마음 편히 코드를 보낼 수 있도록 돕는 도구가 얼마나 중요한지 또 상기했다. 좋은 방법과 도구는 부지런히 익숙해지도록 써보고 언제든 꺼낼 수 있도록 깊이 있게 배워야겠다.

마지막으로 작은 코드나 문서의 오타를 수정하는 정도지만 오픈소스 세상은 충분히 커서 내 조그마한 기여도 정말 많이 필요로 하는 것 같다. "경쟁이 아닌 여행"이란 부분을 상기한다. 앞으로도 얼마나 많이 기여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틈틈이 참여할 수 있으면 좋겠다.

지난 달에 있던 Hacktoberfest에 참여하면서 Gatsby에 기여를 하게 되었습니다. 단일 리포지터리로 된 프로젝트는 처음 경험해서 코드가 반영되고 갱신되는 과정이 흥미로웠습니다. 단일 리포지터리를 사용하면 다중 리포지터리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는지 여러 글을 읽어보게 되었는데 그 중 하나를 번역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은 Dan LuuAdvantages of monorepos 번역입니다.


단일 리포지터리(monorepo)의 좋은 점

다음 같은 대화를 자주 합니다.

누군가: 페이스북/구글에서 거대한 단일 리포지터리를 사용한다는 얘기 들었어? 뭐임 대체!

: 그래, 엄청 편하겠다. 그럴 것 같지 않아?

누군가: 엥 내가 들어본 얘기 중에 가장 황당한 얘기다. 페이스북이나 구글은 단일 리포지터리에 모든 코드를 넣는 게 얼마나 끔찍한 아이디어인지 모르는 건가?

: 내 생각에는 페이스북, 구글에서 일하는 엔지니어도 작은 크기 리포지터리가 익숙할 거야. (Junio Hamano도 구글에서 일하지 않나?) 그리고 여전히 단일 거대 리포지터리를 선호하는데 거기에는 이런 [이유]가 있어.

누군가: 흠, 그래, 꽤 괜찮은 것 같네. 내 생각엔 여전히 이상하긴 하지만 왜 이런 리포지터리를 원하는지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이유]"는 생각보다 꽤 깁니다. 그러니 같은 대화를 계속 반복하는 것보다 글로 작성해서 이유를 설명하려고 합니다.

단순화된 편성

다중 리포지터리를 사용한다면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당 리포지터리가 있거나 연관된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리포지터리가 있을 겁니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는 어떤 팀 또는 회사에 있는가에 따라 달라질 겁니다. 이런 이유로 리포지터리를 합치거나 분리하게 되는데 이런 작업은 순수하게 부가적인 비용이 됩니다. 어떤 경우에 프로젝트를 분리하게 되는지 예를 들면 프로젝트가 너무 큰 경우, 또는 버전 관리 도구의 이력이 너무 많아 최적화가 필요한 경우에 프로젝트를 분리하게 됩니다.

단일 리포지터리를 사용하면 버전 관리 도구가 특정 방식으로 구조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가장 일관적인 방법으로 프로젝트를 편성하고 묶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단일 리포지터리를 사용하면 의존성을 관리하는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편성 단순화의 부수 효과는 프로젝트 간 탐색을 더 쉽게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단일 리포지터리를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탐색한다고 말하는 것과 동일하게 모든 프로젝트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다중 리포지터리로 구성하면 대부분 두 계층으로 분리된 탐색이 필요합니다. 먼저 프로젝트 안을 탐색할 때는 파일 시스템에서 말하는 탐색이 필요하고, 메타 계층으로서 프로젝트 사이를 찾는 탐색도 필요합니다.

단일 리포지터리를 사용하면 나타나는 이 부수 효과에는 또 부수 효과가 있는데 아주 쉽게 개발 환경을 꾸리고 빌드, 테스트까지 구동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다른 프로젝트를 탐색하기 위해서 cd를 사용할 수 있고 cd; make로도 당연히 가능하게 됩니다. 이런 구조가 동작하지 않는 것은 당연히 이상하게 보일 정도로 제대로 동작합니다.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어떤 툴링 작업이든 문제없이 완료됩니다.1 물론 기술적으로 다중 리포지터리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작업을 할 수 있지만 자연스럽지는 않습니다. 즉, 생각처럼 동작하지 않을 때가 종종 있다는 의미입니다.

단순화된 의존성

아마 이 사실은 말할 필요도 없겠지만 다중 리포지터리를 사용하면 서로 어떤 버전에 의존하고 있는지 정의하는 방법이 필요할 것입니다. 듣기에는 복잡하지 않은 문제라고 느낄지 몰라도 실무에서는 대부분의 해결책이 성가신 데다 많은 부하가 따릅니다.

단일 리포지터리를 사용하면 모든 프로젝트를 위한 단일 버전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여러 프로젝트에 걸쳐서 원자적인 커밋(atomic cross-project commit)이 가능하기 때문에 리포지터리는 언제나 일관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즉, #X 커밋에 모든 프로젝트 빌드가 동작해야 합니다. 빌드 시스템에서는 여전히 의존성을 지정할 필요가 있지만 Makefile이나 bazel BUILD 파일을 사용할 때는 다른 것과 같이 버전 관리 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단 하나의 버전 번호를 갖게 되는 것으로 Makefile이나 BUILD 파일, 또는 어떤 빌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특정 버전 번호를 지정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툴링(Tooling)

탐색과 의존성을 단순하게 하면 도구를 만드는 일도 훨씬 쉬워집니다. 도구를 만들며 각 리포지터리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하는 방법 대신에 모든 파일이 리포지터리 내에 들어 있기 때문에 이런 도구는 (리포지터리 내에 의존성을 정의한 몇 파일을 포함해서) 그저 파일을 읽는 일만 하면 됩니다.

이 부분은 사소한 것처럼 느껴질 수 있겠지만 Christopher Van Arsdale의 예에서 빌드가 얼마나 단순하게 가능한지 볼 수 있습니다.

구글 내부의 빌드 시스템은 대형 모듈러 블록 코드를 사용해서 빌드를 환상적으로 쉽게 수행합니다. 크롤러가 필요해요? 여기에 몇 줄 추가합니다. RSS 파서가 필요해요? 몇 줄을 더 추가합니다. 대형 분산, 장애 허용 데이터 저장소? 물론 몇 줄을 더 추가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코드 블록과 서비스는 여러 프로젝트에서 공유되며 쉽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 이처럼 레고(LEGO)처럼 조립 가능한 개발 프로세스는 오픈소스 세계에서 자주 일어나지 않습니다. … 이런 다양한 상태의 결과로 (추측하건대) 오픈소스에 복잡한 장벽이 생겨나고 지난 몇 년간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이런 이유에서 구글과 같이 쉽게 관리하는 경우와 그러지 못한 여러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차이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Arsdale이 편하다고 말한 이 시스템은 오픈소스가 되기 전에 전 구글 엔지니어가 페이스북, 트위터에서도 동일한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 bazel의 자체 버전을 작성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단순히 단일 리포지터리 없이도 모든 의존성을 해결하고 빌드를 수행하는 빌드 시스템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더 큰 노력이 필요한 데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제없이 돌아가는 시스템을 본 적이 없습니다. Maven과 sbt는 그런 점에서 꽤 잘 만들어지긴 했지만, 버전 의존성 문제를 추적하고 고치는데 많은 시간을 들이는 것 또한 일반적으로 많이 겪게 됩니다. rbenv나 virtualenv와 같은 시스템은 문제를 우회하려는 노력이지만 개발 환경을 급증하게 하는 결과를 만들었습니다. 단일 리포지터리에서 HEAD는 항상 일관적이고 유효한 버전을 가리키고 있으며 다중 리포지터리의 버전을 추적하는 노력을 완전히 제거하게 됩니다2.

단일 리포지터리를 운영하면서 빌드 시스템에만 이득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더 예를 들자면 프로젝트 경계를 넘어서 정적 분석을 수행하는 일에도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프로젝트 간의 통합 테스트나 코드 검색과 같이 많은 부분에서도 훨씬 단순해집니다.

프로젝트 간 변경

많은 리포지터리를 갖고 있다면 프로젝트 간 변경은 고통스럽습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리포지터리를 걸쳐 정합성을 맞추기 위해 어마어마한 양의 수작업이 따르거나 또는 핵과 같은 스크립트를 작성해서 돌려야 합니다. 스크립트가 동작하더라도 프로젝트 간 버전 의존성을 올바르게 고치기 위한 부하도 발생합니다. 10개의 내부 프로젝트에 걸쳐 사용하고 있는 API를 리팩토링한다면 아마 하루종일 시간 쓰기 좋은 분량일 것입니다. 수천 개의 내부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API를 리팩토링하는 경우라면 꿈도 희망도 없습니다.

단일 리포지터리라면 API와 모든 호출자의 리팩토링은 커밋 하나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항상 이런 사소한 작업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수많은 작은 리포지터리를 수정하는 방법보다 훨씬 쉽습니다.

대부분은 CVS, RCS, ClearCase와 같은 버전 관리 도구를 사용하는 일이 불합리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 버전 관리 도구는 여러 파일에 걸친 원자적 커밋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커밋의 타임 스탬프와 커밋 메시지, 또는 "진짜" 원자적으로 커밋된 파일이 어떤 것인지 확인할 수 있는 메타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SVN, hg, git 등과 같은 도구는 여러 파일 변경도 하나의 커밋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단일 리포지터리는 동일한 문제를 여러 프로젝트에 걸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접근 방법의 유용성은 단순히 대규모의 API 리펙토링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David Turner는 트위터에서 여러 리포지터리를 단일 리포지터리로 옮기는 작업을 했습니다. 이 작업은 작은 일이지만 여러 프로젝트에 걸친 변경과 이 변경을 배포하는 과정에서 어떤 부하가 발생하는지 이야기합니다.

[프로젝트 A]를 갱신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작업을 위해서는 내 동료가 이 프로젝트의 의존성인 [프로젝트 B]에서 고친 코드가 필요합니다. 이 동료는 [프로젝트 C]에서 변경된 내용이 필요합니다. 만약 A를 고쳐서 배포하려 한다고 해도 C의 배포를 기다려야 하고 B 배포도 기다려야 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모든 것이 하나의 리포지터리에 있다면 내 동료가 코드를 변경해서 커밋 하자마자 내 코드 변경도 즉시 가능합니다.

물론 git 버전에 의해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면 다중 리포지터리에서도 가능할 겁니다. 하지만 내 동료는 두 개의 커밋이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이런 작업에는 버전을 하나 집어서 "안정화" (더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싶은 욕망이 항상 생깁니다. 하나의 프로젝트라면 문제가 없겠지만 상호의존적인 복잡한 프로젝트에서는 이조차도 그다지 쉽지 않은 방법입니다.

[다른 방향에서 본다면] 의존하는 부분 이 강제로 갱신돼야 하는 상황인데 이 또한 단일 리포지터리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접근 방법은 단순히 프로젝트 간 변경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것만 아니라 변경을 추적하는 일도 쉽게 만듭니다. git bisect을 여러 리포지터리에서 수행한다면 분명 다른 도구를 이용해서 메타 정보를 읽는 방법을 배워야 할 것이고 대부분 프로젝트에서는 그냥 간단하게 이런 작업을 하지 않아버리고 맙니다. 만약 이런 일을 한다고 해도 하나의 도구만 써도 충분한 작업을 여러 도구에 걸쳐서 하게 될 겁니다.

Mercurial과 git은 멋집니다! 실화입니다

CVS 또는 SVN에서 git 또는 hg로 변경한 경우에 가장 일반적으로 들을 수 있는 이야기는 엄청나게 생산성이 좋아졌다는 얘기입니다. 이 점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이런 응답의 관점은 git과 hg가 더 발달한 여러 측면(예를 들면 더 나은 코드 머지를 지원한다던가)이 그 이유였지 작은 리포지터리가 더 낫기 때문인 것은 아니었습니다.

사실 트위터는 git을, 페이스북은 Mercurial을 대형 단일 리포지터리를 지원하기 위해 고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점

물론 단일 리포지터리에도 단점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단점을 적지 않을 생각인데 이미 충분히 많은 논의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단일 리포지터리는 다중 리포지터리에 비해 엄격하게 우월한 지위를 갖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엄격하게 나쁜 것도 아닙니다. 제 관점에서는 누구든 꼭 단일 리포지터리로 옮겨야 한다고 얘기하지 않습니다. 단지 단일 리포지터리를 쓰는 일이 완전히 부당하지 않다는 얘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디지털오션과 엣시(Etsy)에서 수백, 수천, 수만 개의 작은 리포지터리를 운영하는 대신 단일 리포지터리 사용을 선호하는 점에는 분명 좋은 이유가 있어서 그럴 겁니다.

다른 논의

광범위한 토론에 함께 한 Kamal Marhubi, David Turner와 Leah Hanson에게 감사 말씀 전합니다. 이 토론에서 적어도 절반 이상의 아이디어가 나왔습니다. 또한 이 글에서 오타와 실수를 찾아 준 Leah Hanson, Mindy Preston, Chris Ball, Daniel Espeset, Joe Wilder, Nicolas Grilly, Giovanni Gherdovich, Paul Hammant, Simon Thulbourn에게 감사드립니다.

Footnotes

  1. 이 부분은 제가 일했던 하드웨어 회사에서도 맞는 말입니다. 저는 이 회사에서 NFS에서 동작하는 RCS를 버저닝하는 단일 리포지터리를 만들어서 사용했습니다. 물론 사람들이 중앙 리포지터리에서 파일을 수정할 수 있게 할 수 없으니 억지로 이 작업을 가능하게 누군가가 여러 스크립트를 작성했습니다. 이런 시스템을 추천하진 않습니다만 엄청나게 단일 리포지터리처럼 해킹해서 쓰더라도 단일 리포지터리의 장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2. 적어도 최신 의존성을 관리하는 메커니즘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물론 이런 작업은 구글에서 문제가 없는데 구글은 코드를 작성해도 많은 수의 직원이 그 코드에 의존하기 때문에 모든 외부 의존성을 단일 리포지터리에 넣어도 전체 직원 규모에서 보면 오히려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입니다. 제가 보기에 작은 회사에서 이런 접근 방법에 이득을 얻기에는 너무 비용이 많이 든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은 Robin Wieruch8 things to learn in React before using Redux 번역입니다.


React에서 Redux 전에 배워야 할 8가지

상태 관리(State management)는 어렵습니다. React같은 뷰 라이브러리는 지역 컴포넌트 상태를 관리하는 일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상태는 특정 시점에서 확장해야 하는 일이 생깁니다. 리액트는 단순히 뷰 계층 라이브러리 입니다. 언젠가는 Redux와 같이 더 수준 높은 상태 관리 솔루션으로 넘어가는 결정을 하게 될 겁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Redux 열차에 올라타기 전에 React에서 알아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 지적하고 싶습니다.

사람들은 간혹 React와 Redux를 함께 배웁니다. 하지만 거기에 문제점이 있습니다.

  • 지역 상태 (this.state)만 사용하는 경우에 왜 상태 관리에 확장 문제가 발생하는지 겪어보지 못합니다
    • 그래서 왜 Redux 같은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가 필요한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 그래서 너무 많은 보일러플레이트에 대해 불평합니다
  • React에서 지역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합니다
    • 그래서 모든 상태를 Redux에서 제공하는 상태 컨테이너에 담아두고 관리하려고 합니다
    • 그래서 지역 상태 관리를 전혀 사용하지 않게 됩니다

이런 문제점으로 인해서 React를 먼저 배우고 나중에 필요하다고 느낄 때 Redux를 배우도록 조언합니다. 확장 문제는 대형 애플리케이션에서만 나타납니다. 가끔 Redux를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책 The Road to learn React에서는 Redux와 같은 외부 의존성 없이 있는 그대로의 React로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하지만 당신은 지금 Redux 열차에 올라타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Redux를 쓰기 전에 React에서 알아야 할 내용을 살펴봅니다.

  • React에서의 지역 상태는 자연스럽다
  • React 함수형 지역 상태
  • React의 상태와 프로퍼티
  • React 상태 옮기기
  • React의 고차 컴포넌트
  • React의 Context API
  • React의 상태 컴포넌트
  • 컨테이너와 프레젠터 패턴
  • MobX 아니면 Redux?

React에서의 지역 상태는 자연스럽다

이미 언급했지만 가장 중요한 조언은 React를 먼저 학습하라는 점입니다. 컴포넌트에 지역 상태 즉, this.setState()this.state를 사용해서 생명을 불어 넣는 일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이 방식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class Counter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counter: 0 };
  }

  render() {
    return (
      <div>
        Counter: {this.state.counter}

        <button
          type="button"
          onClick={() => this.setState({ counter: this.state.counter + 1 })}>
          Click!
        </button>
      </div>
    );
  }
}

React 컴포넌트는 초기 상태를 생성자(constructor)에서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런 후에 this.setState() 메소드를 사용해서 갱신할 수 있습니다. 상태 객체의 갱신은 얕은 병합(shallow merge)으로 수행됩니다. 그러므로 지역 상태 객체를 부분적으로 갱신하고도 상태 객체의 다른 프로퍼티는 손대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상태가 갱신된 후에는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을 수행합니다. 앞에서 예로 든 코드에서는 this.state.counter의 갱신된 값을 보여줄 것입니다. 이 예제에서는 React의 단방향 데이터 흐름을 사용해 하나의 닫힌 루프(loop)를 작성했습니다.

React 함수형 지역 상태

this.setState() 메소드는 지역 상태를 비동기적으로 갱신합니다. 그러므로 언제 상태가 갱신되는지에 대해 의존해서는 안됩니다. 상태 갱신은 결과적으로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런 방식이 별 문제 없습니다.

하지만 컴포넌트의 다음 상태를 위해 연산을 하는데 현재 지역 상태에 의존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앞서 작성했던 예제에서는 다음처럼 작성했습니다.

this.setState({ counter: this.state.counter + 1 });

지역 상태(this.state.counter)는 연산에서 바로 그 시점의 상태로 사용했습니다. 그러므로 this.setState()를 사용해서 상태를 갱신하긴 했지만 지역 상태는 비동기 실행이 수행되기 전에 신선하지 않은 상태값을 사용해 연산하게 됩니다. 이런 점은 처음 보고 나서는 바로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천 마디 말 보다 다음 코드를 보는게 더 빠를 것 같습니다.

this.setState({ counter: this.state.counter + 1 }); // this.state: { counter: 0 }
this.setState({ counter: this.state.counter + 1 }); // this.state: { counter: 0 }
this.setState({ counter: this.state.counter + 1 }); // this.state: { counter: 0 }

// 예상한 상태: { counter: 3 }
// 실제 갱신된 상태: { counter: 1 }

이 코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지역 상태를 갱신할 때 현재 상태에 의존해서는 안됩니다. 이런 접근 방식은 버그를 만듭니다. 그래서 이런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지역 상태를 갱신합니다.

this.setState()에는 객체 대신 함수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비동기적으로 this.setState()가 실행될 때, 함수 시그니처에 지역 상태를 전달합니다. 그래서 이 함수는 콜백 함수로 정확한 시점에 올바른 상태를 갖고 실행되기 때문에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this.setState(previousState => ({ counter: previousState.counter + 1 }));

이 방법으로 this.setState()를 여전히 이용하면서도 객체 대신 함수를 사용해서 이전 상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프로퍼티(props)에 의존적인 갱신이 필요한 경우에도 이 접근 방식을 따라야 합니다. 비동기적 실행이 수행되기 이전에 부모 컴포넌트에서 받은 프로퍼티가 변경되어서 값이 이전 정보가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this.setState()의 두 번째 인자로 프로퍼티가 전달됩니다.

this.setState((prevState, props) => ...);

이제 올바른 상태와 프로퍼티를 사용해서 상태를 갱신할 수 있게 됩니다.

this.setState((prevState, props) => ({ counter: prevState.counter + props.addition }));

객체 대신에 함수를 사용하면서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은 바로 상태를 갱신하는 방법을 격리된 상태에서 테스트 해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단순히 this.setState(fn)을 사용하는 함수를 추출한 다음에 독립적으로 둔 다음에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입력으로 간단히 출력을 확인할 수 있는 순수 함수여야 합니다.

React의 상태와 프로퍼티

상태는 컴포넌트 안에서 관리됩니다. 이 상태는 다른 컴포넌트에 프로퍼티로 내려줄 수 있습니다. 이 컴포넌트는 프로퍼티를 사용하거나 더 깊히 자식 컴포넌트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덧붙여 자식 컴포넌트는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콜백 함수를 전달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전달 받은 함수를 사용하면 부모 컴포넌트의 지역 상태를 변경하는 일도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프로퍼티는 컴포넌트 트리를 타고 내려갑니다. 상태는 하나의 컴포넌트에서 관리합니다. 하위 컴포넌트에서는 프로퍼티로 전달한 함수를 사용해서 상태를 관리하는 컴포넌트까지 거슬러 올라와 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갱신된 상태는 프로퍼티로 다시 하위 컴포넌트로 전달됩니다.

컴포넌트는 전체적인 상태를 관리할 수 있으며 자식 컴포넌트에게 프로퍼티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에 함수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자식 컴폰넌트가 부모 컴포넌트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합니다.

하지만 자식 컴포넌트는 전달된 함수의 출처가 어디인지, 프로퍼티로 받은 함수가 어떤 동작을 하는지 알지 못합니다. 이 함수는 부모 컴포넌트의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지만 다른 일을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자식 컴포넌트는 단순히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로퍼티도 동일합니다. 컴포넌트는 받은 프로퍼티가 프로퍼티인지, 상태인지, 또는 부모 컴포넌트에서 파생된 프로퍼티인지 알 방법이 없습니다. 자식 컴포넌트는 그저 사용할 뿐입니다.

프로퍼티와 상태의 개념을 이해하는 일은 중요합니다. 컴포넌트 트리에서 사용하는 모든 속성은 프로퍼티와 상태로 (그리고 프로퍼티와 상태에서 파생된 속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상호작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태에 보관되어야 합니다. 그 외 나머지는 모두 프로퍼티 형식으로 전달합니다.

수준 높은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전에 컴포넌트 트리를 따라 프로퍼티를 보내본 적이 있어야 합니다. 가장 끝에 있는 자식 컴포넌트에서 특정 값을 사용하려고 중간 컴포넌트에서는 전혀 쓰지 않는, 수많은 프로퍼티를 전달하는 코드를 작성하면서 "분명 이보다 더 나은 방법이 있을 거야" 생각해본 적이 었어야 합니다.

React 상태 옮기기

이미 지역 상태 계층(local state layer)을 옮겼나요? 이 방식은 일반 React에서 지역 상태 관리를 확장하는데 가장 중요한 전략입니다. 상태 계층은 올릴 수도, 내릴 수도 있습니다.

다른 컴포넌트에서의 접근을 줄이기 위해 지역 상태 계층을 하위로 내릴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 A가 자식 컴포넌트로 B와 C를 갖고 있다고 상상해봅시다. B와 C는 A의 자식 컴포넌트로 동등합니다. 컴포넌트 A는 유일하게 지역 상태를 관리하며 자식 컴포넌트에 프로퍼티를 전달합니다. 덧붙여 B와 C에서 A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함수도 전달합니다.

          +----------------+
          |                |
          |       A        |
          |                |
          |    Stateful    |
          |                |
          +--------+-------+
                   |
         +---------+-----------+
         |                     |
         |                     |
+--------+-------+    +--------+-------+
|                |    |                |
|                |    |                |
|       B        |    |        C       |
|                |    |                |
|                |    |                |
+----------------+    +----------------+

이제 컴포넌트 A의 지역 상태 절반은 컴포넌트 C에서 프로퍼티를 통해 쓰고 있으며 컴포넌트 B에서는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다가 C는 A 컴포넌트에서 C에서만 사용하는 상태만 제어할 수 있는 함수를 프로퍼티로 전달했습니다. 여기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컴포넌트 A는 컴포넌트 C를 대신해서 상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한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의 모든 상태를 관리하는 일에 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컴포넌트 A와 컴포넌트 C 사이에 다른 컴포넌트가 추가된다고 생각해봅시다. 컴포넌트 A에서 컴포넌트 C에 전달해야 하는 프로퍼티를 컴포넌트 트리에 따라 전달합니다. 컴포넌트 A는 여전히 컴포넌트 C의 상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
          |                |
          |       A        |
          |                |
          |                |
          |    Stateful    |
          +--------+-------+
                   |
         +---------+-----------+
         |                     |
         |                     |
+--------+-------+    +--------+-------+
|                |    |                |
|                |    |        +       |
|       B        |    |        |Props  |
|                |    |        v       |
|                |    |                |
+----------------+    +--------+-------+
                               |
                      +--------+-------+
                      |                |
                      |        +       |
                      |        |Props  |
                      |        v       |
                      |                |
                      +--------+-------+
                               |
                      +--------+-------+
                      |                |
                      |                |
                      |        C       |
                      |                |
                      |                |
                      +----------------+

이런 경우가 React의 상태를 아래로 내려야 하는 완벽한 경우입니다. 컴포넌트 A는 컴포넌트 C의 상태를 관리하고 있지만 이 상태 일부는 컴포넌트 C가 스스로 관리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즉, 각각의 상태에 대해 각 컴포넌트가 자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지역 상태 관리를 컴포넌트 C로 옮기면 더이상 컴포넌트 트리를 따라 프로퍼티를 전달하지 않아도 됩니다.

          +----------------+
          |                |
          |       A        |
          |                |
          |                |
          |    Stateful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       |
                      |                |
                      |     Stateful   |
                      +----------------+

컴포넌트 A의 상태도 덩달아 깔끔해졌습니다. 이 컴포넌트는 필요에 따라 자신의 상태와 가장 가까운 자식 컴포넌트의 상태만 관리하게 됩니다.

React에서 상태 옮기기는 다른 방향, 즉 상태 위로 옮기기도 가능합니다. 부모 컴포넌트인 컴포넌트 A와 자식 컴포넌트인 컴포넌트 B, C로 다시 돌아와서 살펴봅니다. A, B, C 사이에 얼마나 많은 컴포넌트가 있는지 상관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컴포넌트 C가 이미 자신의 상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
          |                |
          |       A        |
          |                |
          |                |
          |    Stateful    |
          +--------+-------+
                   |
         +---------+-----------+
         |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
                      |                |
                      |                |
                      |        C       |
                      |                |
                      |    Stateful    |
                      +----------------+

만약 컴포넌트 B가 C에서 관리하는 상태가 필요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상황에서는 공유할 수 없습니다. 상태는 프로퍼티 형태로 아래로만 넘겨줄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이런 이유에서 상태 계층을 위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컴포넌트 C의 상태를 컴포넌트 B와 C가 공통으로 갖는 부모 컴포넌트의 위치로 올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A가 해당되겠군요.) 만약 C가 관리하는 상태를 B에서 필요로 한다면 C는 상태 없는 컴포넌트가 됩니다. 상태는 A에서 관리되며 B와 C에 공유됩니다.

          +----------------+
          |                |
          |       A        |
          |                |
          |                |
          |    Stateful    |
          +--------+-------+
                   |
         +---------+-----------+
         |                     |
         |                     |
+--------+-------+    +--------+-------+
|                |    |                |
|                |    |        +       |
|       B        |    |        |Props  |
|                |    |        v       |
|                |    |                |
+----------------+    +--------+-------+
                               |
                      +--------+-------+
                      |                |
                      |                |
                      |        C       |
                      |                |
                      |                |
                      +----------------+

상태를 위로, 또는 아래로 옮기는 전략에서 단순 React를 사용할 때는 어떻게 상태 관리를 확장하는지 배울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컴포넌트가 특정 상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경우에은 상태에 접근해야 하는 컴포넌트 간의 공통 부모 컴포넌트까지 거슬러 올라가 상태를 둬야 합니다. 덧붙여 지역 상태 관리에서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면 컴포넌트는 필요한 만큼 상태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컴포넌트 자체나 자식 컴포넌트에서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있다면 그 상태는 상태가 필요한 컴포넌트의 위치로 이동해야 합니다.

React의 상태 들어 올리기는 공식 문서에서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React의 고차 컴포넌트

고차 컴포넌트 (Higher order components, HOCs)는 React의 고급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추상적인 기능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컴포넌트에서 선택적으로 기능이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고차 컴포넌트는 컴포넌트를 받아서 선택적 설정을 입력으로 받아 강화된 버전의 컴포넌트를 반환합니다. 이 기능은 JavaScript의 고차 함수 원칙인 함수를 반환하는 함수처럼 구현되었습니다.

만약 고차 컴포넌트가 익숙하지 않다면 React의 고차 컴포넌트 안내를 읽어보길 추천합니다. 이 글은 React의 고차 컴포넌트를 React의 조건부 렌더링의 용례와 함께 설명합니다.

고차 컴포넌트는 뒤에서 더 중요해지는데 Redux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게 되면 마주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Redux 같은 라이브러리는 React의 뷰 계층(view layer)와 라이브러리의 상태 관리 계층과 "연결"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고차 컴포넌트를 사용해 처리하게 됩니다. (고차 컴포넌트로 이뤄지는 연결은 react-redux를 사용합니다.)

MobX와 같은 다른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합니다. 고차 컴포넌트는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상태 관리 계층과 React의 뷰 계층을 붙이는데 사용합니다.

React의 Context API

React의 context API는 드물게 사용됩니다. 이 API를 사용하라 충고하지 않는 편인데 이 API는 안정적이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묵시적 복잡도(implicit complexity)를 높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어떤 기능을 하는지 들어보면 왜 이런 기능이 있는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왜 이 기능을 알아야 할까요? React의 context는 컴포넌트 트리에서 속성을 묵시적으로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부모 컴포넌트에서 속성을 context로 선언하면 컴포넌트 트리 아래에 있는 자식 컴포넌트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명시적으로 각각의 컴포넌트 계층에 일일이 전달할 필요 없이 단순히 부모-자식 관계라면 부모 컴포넌트가 생성한 context를 자식 컴포넌트가 집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컴포넌트 트리에 걸쳐 언제든 꺼내서 쓸 수 있는, 보이지 않는 컨테이너가 존재합니다. 이 컨테이너 덕분에 컴포넌트에서 필요하지 않는 프로퍼티는 접근할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React에서 "프로퍼티 내려꽂기(props drilling)"라고 하는 일을 피할 수 있게 됩니다. 다시 원래 주제로 돌아와서 왜 이런 API를 알아야 할까요?

Redux나 MobX와 같은 세련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다보면 어떤 시점에서 상태 관리 계층을 React 뷰 계층에 붙여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React의 고차 컴포넌트를 언급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이 붙이는 과정을 통해 상태에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게 됩니다. 상태 자체는 일종의 상태 컨테이너 안에서 관리됩니다.

하지만 어떻게 모든 컴포넌트에서 이 상태 컨테이너에 접근할 수 있도록 붙일 수 있을까요? 이런 상황에서 React의 contex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상위 컴포넌트 즉, React의 루트 컴포넌트(root component)에서 상태 컨테이너를 context로 지정합니다. 그래서 컴포넌트 트리에 있는 모든 컴포넌트에 명시적으로 전달하지 않으면서도 모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모든 과정은 React의 프로바이더 패턴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방식을 사용한다는 게 Redux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마다 React의 context를 직접 제어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이런 라이브러리는 이미 모든 컴포넌트에서 상태 컨테이너에 접근 가능하도록 모든 기능이 함께 제공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이해하게 된다면 여러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제어하면서 도대체 이 상태 컨테이너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걱정할 필요도 없어지게 됩니다.

React의 상태 컴포넌트

React는 두 종류의 컴포넌트 선언이 존재합니다. ES6 클래스 컴포넌트와 함수형 상태 없는 컴포넌트(functional stateless component)입니다. 함수형 상태 없는 컴포넌트는 props를 인자로 받고 JSX를 반환하는 단순한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어떤 상태도 갖지 않으며 React의 생애주기(lifecycle) 메소드에도 접근하지 않습니다. 이 컴포넌트는 이름 붙여진 그대로 상태가 없습니다.

function Counter({ counter }) {
  return (
    <div>
      {counter}
    </div>
  );
}

반면, ES6 클래스 컴포넌트는 지역 상태와 생애주기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컴포넌트는 this.statethis.setState() 메소드에 접근 가능합니다. ES6 클래스 컴포넌트는 상태 컴포넌트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이 컴포넌트가 꼭 지역 상태를 사용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며 상태 없는 컴포넌트로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상태가 없는 ES6 클래스 컴포넌트라면 생애주기 메소드를 사용하기 위해 클래스 형태로 작성한 경우입니다.

class FocusedInputField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

  componentDidMount() {
    this.input.focus();
  }

  render() {
    return (
      <input
        type="text"
        value={this.props.value}
        ref={node => this.input = node}
        onChange={event => this.props.onChange(event.target.value)}
      />
    );
  }
}

결론적으로 ES6 클래스 컴포넌트만 상태를 가질 수도 가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함수형 상태 없는 컴포넌트는 항상 상태가 없습니다.

덧붙여 고차 컴포넌트도 React 컴포넌트에 상태를 덧붙일 수 있습니다.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직접 고차 컴포넌트를 만들거나 recompose와 같은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withState 고차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import { withState } from `recompose`;

const enhance = withState('counter', 'setCounter', 0);

const Counter = enhance(({ counter, setCounter }) =>
  <div>
    Count: {counter}
    <button onClick={() => setCounter(n => n + 1)}>Increment</button>
    <button onClick={() => setCounter(n => n - 1)}>Decrement</button>
  </div>
);

고차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어떤 컴포넌트에든 지역 상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와 프레젠터 패턴

컨테이너와 프레젠터 패턴은 Dan Abramov의 블로그 포스트 이후 유명해졌습니다. 이 패턴에 익숙하지 않다면 지금이 살펴 볼 차례입니다. 컴포넌트를 컨테이너와 프레젠터로 구분합니다. 컨테이너 컴포넌트는 어떻게 동작하는가를, 프레젠터 컴포넌트는 어떻게 보이는가를 정의합니다. 컨테이너 컴포넌트는 ES6 클래스 컴포넌트로 구현되어 지역 상태를 관리합니다. 프레젠터 컴포넌트는 함수형 상태 없는 컴포넌트로 작성하여 프로퍼티로 받은 내용을 표현하고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받은 함수 몇 가지를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Redux로 뛰어들기 전에 이 패턴 뒤에 있는 원칙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는 컴포넌트를 상태와 "연결"해줍니다. 상태 관리 계층과 연결된 컴포넌트를 **연결된 컴포넌트(connected component)**라는 용어로 부르기도 합니다. 이 컴포넌트는 어떻게 보이는가는 신경쓰지 않지만 어떻게 동작하는가에 집중하게 됩니다. 이런 컴포넌트가 바로 컨테이너 컴포넌트의 역할을 합니다.

MobX 아니면 Redux?

모든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통틀어 Redux가 가장 유명하고 MobX는 살펴 볼 가치 있는 대안입니다. 두 라이브러리는 다른 철학과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따라가고 있습니다.

둘 라이브러리 중 하나로 고르기 전에 이 글에서 설명한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본 React의 상태 관리를 확장하기 위해 다른 개념을 적용할 정도로 지역 상태 관리에 익숙해야 합니다. 미래에 규모가 커질 애플리케이션을 염두해서 상태 관리도 확장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합시다. 상태 관리 위치를 변경하거나 React의 프로바이더 패턴을 활용해 context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미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Redux나 MobX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면 Redux 또는 MobX: 혼란을 해결하려는 시도에서 더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으니 읽어보기 바랍니다. 두 라이브러리를 비교하고 어떻게 적용할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니면 React + Redux 학습 팁으로 바로 Redux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Redux와 MobX에 대해 더 궁금하다면 전자책/코스인 Taming the State in React를 확인해보세요.


2018-11-24: Rinae님의 피드백으로 프로퍼티 구멍내기를 프로퍼티 내려꽂기로 수정했습니다.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wordpress를 사용해서 운영하고 있던 블로그를 gatsby 기반으로 전환했다. 전환하는 과정에서 고려한 부분과 생각한 점을 정리하려고 한다.

전환 이전의 상황

그동안 wordpress를 직접 호스팅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매월 digitalocean에 비용을 내고 있는게 조금 아까웠다. 예전에는 블로그 외에도 이것 저것 올렸던 사이트가 있어서 크게 고민이 없었지만 이제는 다 정리되고 블로그만 남아 있었다. 게다가 거의 방치되다시피 하다보니 보안 문제도 계속 신경이 쓰일 수 밖에 없었다. wordpress를 실무에서 더이상 사용하고 있지 않아서 무슨 문제가 생기더라도 예전만큼 빠르게 알고서 대응할 수 없을 거란 생각도 들었다.

이런 이유에서 정적 사이트 생성기로 전환할 생각은 오래 전부터 했었다. 비용도 거의 무료인 데다 보안에도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실천으로 옮기기 쉽지 않았다. 전적으로 마음에 드는 도구도 찾기 힘들었다. 블로그에 촛점을 맞춘 도구가 대부분이라 유연함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또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다. 모든 자료를 문제 없이 옮기더라도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었다. 자동으로 추출하는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분명 손이 가는 부분이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wordpress는 최고다. 그저 클릭 몇 번으로 새로운 기능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테마도 손쉽게 바꿀 수 있는 데다 웹엔드에 앱도 제공한다. wordpress에서 벗어나고 싶어도 게으름이 내 발목을 꼭 잡고 놓아주질 않았다! 그래서 매번 "바꿀까?" 생각이 들 때마다 얼마 후에 "굳이 그래야 할까?"로 자연스럽게 의식의 변화가 생겼다.

I regret everything
모든 걸 후회합니다ㅏㅏ

쉬고 있는 동안 글은 안쓰는데 비용 나가는 것이 눈에 보이니 지금이라도 서둘러 옮겨야겠구나 하고 도구부터 찾았다.

도구 찾기

맨 처음엔 nextjs를 사용하려고 했었는데 생각보다 구현이 단순해서 직접 만져야 하는 부분이 많았다. 특히 파일 구조가 아닌 내가 원하는 url 구조를 넣으려니 생각보다 시간이 걸렸다. 한 3일 정도 만졌는데 뭔가 알 수 없는 404 오류가 계속 콘솔에 찍혀서 시간을 허비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gatsby가 생각나서 튜토리얼만 봐야지 했는데 직접 만들려고 했던 기능들이 이미 다 훨씬 멋지게 제공되고 있었다.

특히 graphql로 쉽게 filesystem도 불러오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고 url 구조도 내가 원하는 대로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 바로 마음을 돌렸다.

개발 과정

데이터 추출하기

Gatsby는 마크다운으로 작성되기만 하면 활용에 큰 문제가 없도록 구현되어 있어서 특히 편리했다. 그래서 hugo용이더라도 상관이 없어서 wordpress-to-hugo-exporter 플러그인을 사용해 추출했다.

데이터를 추출하기 전에 haruair.com에서 어떤 주소였는지 frontmatter에 history로 저장하도록 플러그인을 수정했다. 그리고 기존에 사용하던 headline도 저장했다.

글 몇 개를 제외하고 변환되긴 했는데 마크다운이 아닌 html로 저장된 문서도 몇 발견할 수 있었다. 지금도 다 확인하지 못해서 소셜 embed가 깨지는 페이지가 좀 있다. 변환이 안된 글도 있는데 플러그인에서 yaml 변환 과정에 문제가 있으면 깨진다. 누락되지 않는 페이지가 있는지 뒤늦게 확인했고 몇 개 안되어 손으로 변환했다.

영어와 한국어를 분리하고 싶어서 lang도 추가했다.

구현 사항과 사용한 플러그인

  • URL 처리: createPage()에서 path만 값만 넣으면 손쉽게 커스텀 경로를 사용할 수 있었다. frontmatter에 추가한 langtype, slug를 조합해서 사용하도록 했다. 또한 절대 경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url도 추가했다.
  • RSS 피드: gatsby-plugin-feed을 사용하면 쉽게 만들 수 있다. 다만 정적 사이트라서 xml 확장자를 써야만 하는 점이 아쉽다. /feed.xml/ko/feed.xml을 분리해서 생성하도록 config에 추가했다. 각각 어느 피드인지 title도 넣었다.
  • sitemap: 구글 웹마스터 도구에 제출하기 위해서 gatsby-plugin-sitemap을 추가했다.
  • PWA용 기능: gatsby-plugin-offlinegatsby-plugin-manifest를 추가했다. PWA는 잘 몰라도 속도가 빨라진 것은 바로 체감할 수 있었다.
  • 문법 강조: prismjs를 설치했다. 항상 hightlightjs를 사용해와서 조금 어색하긴 하지만 마음에 든다.
  • 소셜 공유: react-helmet으로 og meta와 twitter meta를 추가했다. 플러그인이 있을 것 같은데 일단 helmet으로 해결했다. 테스트 해보니 큰 문제 없었다.
  • 404 페이지 링크 문제: 내 코드에 문제인가 한참 씨름했는데 gatsby의 버그였고 현재는 고쳐졌다.
  • 배포: 도메인은 cloudflare에 있었고 github pages에 배포하려고 생각했는데 netlify가 정말 멋지게 서비스를 만들어둬서 netlify를 사용하게 되었다.
  • Google Analytics 설정: gatsby-plugin-google-analytics로 간편히 설정했다.

redirect과 canonical

앞서 자료를 추출하며 추가한 history로 redirect.json을 생성했다. 이 파일로 haruair.com에서 yoast SEO의 canonical 란에 새 주소를 저장했다.

<?php
if (php_sapi_name() !== 'cli') exit;
require_once(__DIR__ .'/wp-load.php');

$filename = './redirect.json';
$key = '_yoast_wpseo_canonical';

$data = json_decode(file_get_contents($filename));

foreach($data as $r) {
  $u = explode('/', $r->from);
  $id = array_pop($u);
  if (!is_numeric($id)) continue;

  $canonical = get_post_meta($id, $key);
  if ($canonical !== null) continue;

  update_post_meta($id, $key, $r->to);
  echo "SET {$id} {$r->to}". PHP_EOL;
}

사용하고 있는 amp 플러그인에서는 yoast의 canonical을 불러오고 있지 않아서 다음처럼 추가했다.

<?php
function haruair_amp_canonical($data, $post) {
  $data['canonical_url'] = get_post_meta($post->ID, '_yoast_wpseo_canonical', true);
  return $data;
}

add_filter('amp_post_template_data', 'haruair_amp_canonical', 100, 2);

여기까지 하고 Google Webmasters에 sitemap을 제출했다.

amp 페이지는 캐싱 되는 주기가 길어서 빨리 반영이 되지 않는 데다 사용하고 있던 cloudflare의 캐시를 매번 지워줘야 해서 확인이 어려웠다.

게다가 canonical을 추가하니 기존 사이트가 검색에서 사라졌는데 새 페이지가 아직 구글에 크롤링 되지 않아 아예 검색 결과에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모든 페이지에서 301 Moved Permanently로 새 주소에 이동하도록 코드를 추가했다.

<?php
function haruair_redirect_canonical() {
  if (!is_single()) return;
  $canonical = get_post_meta(get_the_ID(), '_yoast_wpseo_canonical', true);
  if ($canonical) {
    wp_redirect($canonical, 301);
    exit;
  }
}

add_action('template_redirect', 'haruair_redirect_canonical');

이제 색인이 어느 정도 정리되면 haruair.com 도메인도 netlify에서 제공하는 _redirect로 변경할 예정이다.

edykim.com

그동안 haruair.com을 오래 사용했는데 하나로 다 통합하기로 결정했다. 새 도메인에서 다시 시작하는 기분으로 깔끔하게 정리했다. 예전에는 블로그 구조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서 노트처럼 사용하려는 취지와 조금 멀어졌는데 여기서는 좀 더 차분하게 내 자료를 쌓아갈 수 있으면 좋겠다.

처음 사용해본 Gatsby도 마음에 들었다. 주변에서도 많이 언급해서 궁금했었는데 이 정도로 만족스러울 줄은 몰랐다. Gatsby를 사용하면서 source와 transformer, plugin의 구분으로 확장의 성격을 명확하게 분리하는 점과, GraphQL로 마치 데이터를 가져와 페이지를 생성하면서도 그 과정 어느 순간이든 사용자가 개입할 수 있도록 열린 구조가 너무 좋았다. 작업 하면서 사소하지만 작은 코드를 기여하기도 했는데 기여 방법도 어떤 과정으로 참여할 수 있는지 잘 정리되어 있어서 손쉽게 제출할 수 있었다. 아직 코드가 지저분한데 정리도 하면서 gatsby도 좀 더 깊이 살펴보는 기회로 삼고 싶다.

HUZZAH!!!
어예! 공부다 공부 ✌

아직도 개인 신상이 정리가 되질 않아서 제출한 서류 결과만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 조금 답답했었다. 그래도 오랜만에 코드 만지면서 예전 생각도 들고, 얼른 다시 코드 짜는 삶으로 돌아가고 싶어졌다. 연말까지는 큰 일 없이 이렇게 지내게 될 것 같은데 조금 더 멀리 보고 부지런히 준비해야겠다.

그동안 사용하고 있던 맥북 프로는 사실 아내 몫으로 구입했다. 의외로 무거운 무게 하며 딱딱한 키보드는 생각처럼 쉽게 적응되지 않았다. 호주에서 미국으로 오며 맥북 프로는 주인을 찾아갔고 나는 새로운 랩탑을 장만해야 했다.

전에 다니던 회사에서 레노보를 전적으로 사용했고 주변에서도 레노보에 대한 평이 좋아서 레노보 장비를 마련하고 싶었다. 그래서 어떤 기종을 구입할까 고민하던 중에 Costco에서 할인하고 있는 6세대 Lenovo X1 Carbon를 구입했다.

  • Intel(R) Core(TM) i7-8550U CPU @ 1.80GHz, 1992 Mhz, 4 Core(s), 8 Logical Processor(s)
  • 14 inch FHD (anti glare)
  • RAM 16GB
  • SSD 512GB
  • 2x USB Type C Thunderbolt 3, 2x USB 3, HDMI 1.4 Port
  • 3 Cell 57Wh (Up to 15 hour total) Battery
  • Weight 2.49lbs

전에 사용했던 Dell XPS 13에 크게 실망했던 기억에 비하면 이 랩탑은 정말 만족스럽다. 다음 직장을 언제 구할지 모르니 이번 랩탑을 정말 오래 쓰게 될텐데 생각하니 고민을 많이 하게 되었는데 마음에 들어서 다행이다 싶었다. 좋은 도구를 찾게 되어 기쁘다.

마감이 플라스틱이라서 조금 불안하기는 하지만 만듬새 자체는 단단하다. 들고 다니기도 전혀 부담되지 않고 가볍다. 듀얼 부트로 설치한 우분투에서도 별 다른 문제 없이 모든 하드웨어가 잘 인식된다.

지문 인식도 붙어 있는데 안써봤다. Micro SD도 사용할 수 있고 USIM 슬롯도 있는데 USIM은 옵션에 추가하지 않으면 슬롯은 있지만 안테나가 없어서 사용하지 못한다고 한다. 찾아보면 안테나 구입해서 직접 장착하는 방법도 있다고. 선더볼트 3라서 eGPU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키보드다. 크기도 적당히 커서 불편함이 없고 눌리는 느낌도 명확해서 정말 좋다. 하지만 화살표 위에 PgUp, PgDn을 넣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 불편한 레이아웃에도 큰 불만이 없는 이유는 커서 이동에 방향키보다 더 편리한 트랙 포인터가 있기 때문이다. 아직은 마우스나 애플 트랙패드보다 불편하긴 하지만 손을 키보드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 마음에 든다.

이게 무슨 문제인지 모르겠는데 뚜껑 닫고 슬립모드에서 충전하면 뜨거운 상태로 있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아침에 들고 나간다고 충전기 빼고 랩탑을 들면 손난로처럼 따듯하다. 이건 처음에 우분투서만 있는 문제인가 했는데 윈도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반 쯤 열어두고 충전하면 문제 없다. 가끔 그러는데 가끔 그러는게 싫어서 그냥 열어두고 충전한다.

그다지 무거운 작업을 할 일이 없어서 성능 테스트를 할 만한 상황이 없었다. Visual studio를 사용하고 있어도 hello world 수준이라 전혀 문제를 겪지 못했다. 배터리도 나쁘지 않다. 적당한 밝기로 인터넷도 보고 책도 좀 보고 코드도 보고 하면 한 9시간 남짓 사용할 수 있었다. 좀 더 성능이 중요한 작업을 하면 더 짧아지긴 하겠지만 눈에 보일 정도로 빠르게 닳진 않았다.

이제 게으름을 도구탓으로 돌리지 못하게 되었다. 부지런히 써야 할 도구가 늘었다.

색상을 바꿔요

눈에 편한 색상을 골라보세요 :)

Darkreader 플러그인으로 선택한 색상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