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일기를 꾸준히 써야 한다고 주입받은 사람이라면 어딘가에 삶을 기록해야 한다는 강박감이 생긴다. (실제로 기록하고 있지 않더라도.) 난 공부는 못하더라도 선생님 말씀은 엄청나게 잘 듣는 타입의 학생이었기 때문에 기록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했다. 일기도 매번 작심삼일이지만 꾸준하게 쓰려고 노력했다. 컴퓨터를 배우고서는 컴퓨터에도 일기를 썼었다. 그땐 그 글이 평생 가리라 생각하고 1GB 하드 드라이브, 3.5인치 플로피 디스켓에 저장했었다. 당연히 그때 쓴 글은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는 글이 되었다. 그 하드는 죽어서 2GB로 교체했고 플로피 디스켓은 더는 읽을 수 없었다.
인터넷을 맨 처음 만났을 땐 인터넷에 글을 쓴다면 더 오랫동안 글을 갖고 갈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들었다. 그리고 이름도 기억 안 나게 망해버린 서비스에 글을 썼다.1 그렇게 글을 날려 가면서도 이곳저곳 글을 많이 작성했다. 서비스를 이용해서 글을 작성하면 기술적인 문제로 날려버리는 일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서비스가 망하지 않는 이상 평생토록 저장할 수 있다. 물론 당시 많은 서비스가 접혀서 여러 번 날렸다.
과거에도 관리 안한다고 욕먹었던 나란 사람
여러번 서비스를 옮겨가면서 글을 썼지만, 문제는 나 자신에게도 있었다. 너무 유치하고 어린 이야기만 가득하다고 느껴 지워버린 일이 여러 번 있었다. 대부분 서비스는 몇 번 클릭으로 계정을 지우거나 글을 날려버릴 수 있었다. 되돌릴 방법 없이 쿨하게 모든 데이터를 지워버릴 수 있던 탓에 내가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고 지냈는지 들춰 볼 일기장이 없어지고 말았다.
내 글을 누적하는데 내적/외적 문제가 늘 발생했지만 가장 오랫동안 폭파하지 않고 꾸준하게 사용한 곳은 바로 여기다. 아직도 과거의 글을 보면 오글거리고 유치해서 삭제 버튼에 손이 가는 편이지만, 아이러니하게 글을 올려둔 호스팅과 도메인을 유지하는 데 돈을 쓰기 시작한 이후로 내 글에 좀 더 애정이 생겼다. 그렇게 이 블로그가 가장 오랫동안 꾸준하게 글 쓰고 관리한 곳이 되었고 매일매일 그 꾸준함의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왜 쓰고 왜 공유하나
꾸준하게 쓰는 것이 앞서 말한 강박감에 의해 시작된 것이라면 무엇을 쓰고 공유할지에 대해서는 호주에 올 준비를 할 때 든 생각 때문이다. 워킹 홀리데이로 호주에 오기 전에 책도 여러 권 읽어보고 후기도 매일같이 찾아서 읽어봤지만, 다들 농장에서, 공장에서, 또는 리조트나 호텔에서 일한 이야기만 있었지 호주 취업시장이 어떻고 어디서 무엇을 알아봐야 하는지에 대한 글은 찾아볼 수 없었다. (한글로 검색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어느 계절에 어느 지역 농장에서 체리를 따면 주천 불을 벌 수 있다더라, 성과제로 운영되는 농장에는 농사의 신이 존재해서 하루에 삼사백 불을 번다더라, 어느 리조트에 들어가는 건 까다롭지만 일 안 하는 날엔 리조트 시설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더라. 이런 이야기 외에는 찾기 힘들었다.
어디든 “IT로 취업하려고 하는데….”하고 물어보면 하나같이 “현지인도 어려운데 가능하겠냐”는 부정적인 대답만 들을 수 있었다. 그래도 흔하지 않을 뿐 누군가는 그렇게 하고 있겠지 하고 어떻게 만든 기회인데, 워킹 홀리데이로 와서 어떻게든 도전해보자고 생각하고 있었다. 호주로 출국하기 얼마 전에 활동하던 개발 커뮤니티에 이 이야기를 올렸는데 워킹 홀리데이로 시드니에서 웹 프로그래밍으로 일을 시작해 스폰서 비자로 전환했다는 분이 있었다. 몇 줄 안 되는 댓글이었지만 완전히 불가능한 것이 아니란 말에 걱정을 좀 덜 수 있었다. 그런 과정을 겪고 나니 단순히 호주 이야기 외에도 내가 겪는 모든 일을 글로 남기면 누군가 나처럼 고민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바다에 편지 띄우는 심정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런 이유로 글을 쓰긴 시작했지만, 남에게 도움이 되는 것보다 먼저 나 스스로 더 많은 도움이 되고 있었다.
어떤 글로 시작할까
요즘 쓰는 글을 크게 두 갈래로 나눠보면 하나는 정리해두고 잊기 위해 작성하고, 다른 하나는 경험이나 지식을 오래 기억하기 위해 작성하는 글이다.
정리해두고 잊기 위한 글은 두 세 문단으로 쓸 수 있을 정도로 사소한 글로 큰 노력 없이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 예의를 차리지 않아도 될 정도로 짧은 글이기 때문에 용건만 간단히 작성하고 나중에 다시 쓸 일이 있을 때 1분 이내로 읽어서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면 된다. 이런 글을 작성할 때는 읽고 나서 더 찾아보고 싶은 경우를 위해서 링크나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주한 문제를 내가 표현하는 방식으로 정리해둔 글은 내가 다시 검색할 때 효용이 크다. 내 표현대로 작성했기 때문에 글을 작성하고 잊더라도 검색엔진에서 생각나는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쉽게 찾을 수 있다. 사소한 글은 색인 카드를 작성하는 느낌으로 쓸 수 있다. 이 과정을 겪게 된 이유, 이후엔 어떻게 되었는지 한 줄 덧붙이면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는 글이 된다.
다른 하나는 바둑에서 대국을 끝내고 복기하는 것과 같은 기분으로 과정을 정리하는 글을 작성한다. 경험에 대해 작성한다면, 어떤 상황에서 어떤 결정을 내렸고, 그 결정으로 인해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활자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경험을 객관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객관화된 경험은 비슷한 상황에서 결정을 내리는 데 활용하기 좋으며 명료하게 정리한 과정에서 내공으로 쌓이게 된다. 알게 된 지식에 대해 자신만의 표현으로 논리정연하게 정리하면 더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다. 이런 글을 작성하기 전에는 어떤 내용을 쓸지 짧게 정리한 후에 시작하면 도움된다. 다 작성하고 나서는 퇴고를 꼼꼼하게 한다. 이런 글에 시간을 얼마나 쓰는가는 이 글이 자신에게 얼마나 중요한가에 따라 좌우한다.
이 두 가지 글쓰기는 그 경계가 모호한 편이다. 사람들이 읽고 좋다고 많이 공유하는 글은 복기하는 식의 글이지만, 사소한 글을 평소에 많이 쓰지 않으면 긴 호흡의 글을 작성하기 쉽지 않다. 나도 긴 글을 작성하는 데 늘 어려움이 있어서 사소한 글을 많이 쓰는 편이지만 점점 호흡이 늘고 있지 않나 생각하고 있다. 호흡은 둘째 치고 꾸준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면 작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꾸준해지고 싶다면 작게 시작해야 한다.
꾸준함 그 이후는
꾸준함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올랐다고 생각하면 의도적인 수련이 필요하다. 글을 쓰는 시간을 더 짧게 잡고 작성한다거나, 더 넓은 외연과 깊은 식견의 글을 작성한다거나, 연재 형식으로 글을 작성한다거나 말이다. 스스로 좋은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는 목표를 찾는 것이 좋은데 물론 그 전에 꾸준함을 먼저 챙기는 것이 좋겠다. 평소에 달리지도 않았던 사람이 내일 당장 마라톤을 뛰겠다고 결정하는 것만큼 황당한 일이다.
꾸준함을 유지하면서 내가 지키려는 원칙도 있는데 그 원칙 중 0순위는 작성한 글을 삭제하지 않는 것이다. 얼마 전 엄청나게 공유된 오픈소스 쓰셨던데 그러고도 개발자입니까?도 내 블로그에서 조회 수에서 큰 지분을 가진 글인데 공유될 때마다 다시 읽어보면 그때 그 분노를 추스르지 못했던 내 상황이 자꾸 생각이 나서 삭제할까 고민을 가장 많이 하는 글 중 하나다. 그래도 다 내 경험이고 그때 일했던 시기를 다시 기억할 수 있는, 몇 남지 않은 통로다. 만약 과거에 이 글을 삭제를 했다면 이때 경험을 영영 상기할 수 없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참조가 없으므로 GC로 정리되서 말이다.
잘 쓰기보다 꾸준함이 먼저
멋진 통찰이 가득한 블로그를 보면 이 블로그를 쓰는 사람은 참 대단하다 생각하며 RSS에 구독하고 있고 나도 언젠가 그런 블로그처럼 멋진 글을 올려야지 생각한다. 누구를 닮아야지 하고 롤모델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종종 내 부족함에 대해서만 고민하게 되고 그 사람처럼 멋진 글을 못 쓰니까 글을 못 쓰겠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래서 어떻게든 꾸준함이 습관이 되기 전까지는 철저하게 나를 중심으로 글을 써야 한다. 내가 공유하고 싶은 글, 내 생각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글을 써야 한다. 그러면 꾸준함의 궤도에 오르기 쉽고 그 이후로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대로 항해할 수 있다. 꾸준하게 하지도 않는데 잘하길 먼저 고민하면 그건 너무 욕심이 아닐까 싶다.
아직 나도 많이 부족하고 재미없고 말도 안 되는 글을 올리지만 오랜만에 내 블로그를 둘러보면서 든 생각을 두서 없이 정리해봤다. 자신 있게 블로그를 자랑할 수준은 안 되지만 예년보다 꾸준히 한 편이고 그 과정에서 배우고 느낀 점이 많았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더 꾸준하게 글을 쓸 수 있으면 좋겠다.
그 서비스 중에 생각난 이름이 있어서 검색해봤는데, 세상에, 아직도 서비스하고 있었다. 12년 전에 쓴 추리소설이 아직도 존재한다. 세상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