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dPress에는 기본적으로 Links라는 포스트 타입이 존재했었는데 WordPress 3.5 에서 제외되었다고 한다. 대부분의 사용자가 거의 이용하지 않는 기능이 되다보니 이런 결정을 내리지 않았나 싶다.

그 이전 버전 사용자는 업그레이드 하더라도 해당 기능이 계속 유지되지만 신규로 설치한 경우는 다음과 같은 Links 항목을 관리자 화면에서 찾을 수 없다. 이 Links 항목을 보여주는 Link Widget(Blogroll)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3.5 이후 버전을 설치한 경우에는 Links가 존재하지 않는다.

티켓 #21307에서 논의된 결과로 Link Manager 플러그인으로 분리되었고 3.5 이후 버전에서는 해당 플러그인을 설치해 사용할 수 있다.

Press This는 워드프레스 2.6에서 Press It를 대체하기 위해 나온 기능 중 하나로 워드프레스에 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돕는 북마클릿 기능이다. 이 북마클릿을 이용하면 어느 웹페이지도 간편하게 스크랩해 자료를 모으거나 해당 컨텐츠를 인용해 포스팅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언제든 작성할 내용이 생각나거든 북마클릿만 눌러 간편하게 메모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 중 하나다.

설치하기

관리자 메뉴 중 Tools > Available Tools에서 Press This 섹션을 찾을 수 있다. 설명대로 Press This 버튼을 bookmark bar에 끌어다 놓으면 설치가 끝난다. (drag and drop)

(Scrapbook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똑같은 페이지에 Scrap This 버튼이 생겨난다. 이 버튼으로 북마클릿을 만들면 Post가 아닌 Scrap으로 수집할 수 있다.)

press-this

활용 방법

저장하려고 하는 페이지에서 북마크바에 끌어다 놓았던 북마클릿을 실행하면 작은 에디터 창이 나타난다. 바로 포스트 하거나 카테고리, 태그 등을 이용해 분류할 수도 있다. 인용하고 싶은 구절이 있다면 해당 영역을 드래그 한 후 북마클릿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간편하게 인용할 수 있다.

press-this-window

트위터를 통해 읽게 된 Javascript, the New PHP 라는 아티클은 JavaScript가 PHP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음을 몇 사례를 들어 담담하게 이야기한다. 쉽게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과 단점으로 만들어진 PHP 생태계와 마찬가지로 JavaScript도 비슷한 수순을 밟고 있어 안타깝다는 이야기가 전체적인 흐름이다. 특히나 나도 비슷한 기술 스택을 가지고 있어 공감하는 부분이 많았다.

  • 쉽고 간단한 코드가 깊은 레벨로의 학습보다 복사-붙여넣기로 지금 당장 동작하는 코드를 선호하게 한다.
  • 이런 문제를 야기하는 개발자들 스스로가 공부하는 것을 귀찮아 하거나 필요하다는걸 깨닫지 못하고 있다.
  • 결과적으로, 이미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스스로를 전문가로 생각한다.

위 아티클에서 인용된 Stackoverflow의 안좋은 답변에서는 초심자를 위해 어떻게 질문에 접근해야 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그보다 더 눈 여겨 보게 된 부분은 합당한 답변보다 단순히 기술적으로 옳은 답변(지금 당장에 동작하는 코드)를 선택함으로 잘못된 코드가 계속 생명력을 갖게 된다는 점이다. 결국 낮은 수준의 개발자들이 낮은 수준의 개발자를 끊임 없이 양산한다. 커뮤니티는 보수적으로 변하고 새로운 기술에 기민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된다.

깊이있게 알지 못하는 개발자를 정죄하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다만 내 스스로 쉬운 언어 속의 옅은 개발자로 삶을 살고 있는건 아닌지 경계해봐야 한다.


tl;dr

VMWare Tools를 다시 설치하면 된다.

VMWare Tools 재설치하기

문제

맥에서 VMFusion를 사용해 Windows 개발 환경을 쓰고 있었는데 8.1로 업데이트 한 이후 공유 폴더 드라이브에 연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나타났다.

VMFusion에서는 맥과 윈도우 환경을 가상 드라이브를 통해 연결하는데 이 설정에서 윈도우 기본 폴더들을 맥 환경의 디렉토리로 연결해둘 수 있다. Desktop도 그런 방식으로 공유되어 있는 상태였는데 읽을 수는 있으나 저장이 안되는 이상한 상황이라 이것 저것 둘러보다가 가상 드라이브가 없어진 상태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Sharing에 문제가 있다고 로그아웃 하라는 얘기는 계속 나오지만 로그아웃 해도 해결되지 않았다.

VMWare Tools를 재설치하니 정상적으로 드라이브를 인식해 다시 사용할 수 있었다.

해결 과정

  1. 일단 VM을 종료한다.
  2. 메뉴에서 Virtual Machine > Sharing > Sharing Settings...에 들어가 공유를 끈다.
  3. VM을 실행하고 로그인해서 바탕화면까지 진입한다.
  4. 메뉴에서 Virtual Machine > Update VMWare Tools 또는 Virtual Machine > Reinstall VMWare Tools을 선택한다. VMWare Tools를 내려받는 과정 후 가상 이미지가 자동으로 추가되어 설치가 진행된다. 자동으로 진행되지 않으면 내 컴퓨터 > D: 에 있는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해준다.
  5. 설치가 완료되면 재시동 하라고 하는데 재시동 한다.
  6. 다시 메뉴에서 Virtual Machine > Sharing > Sharing Settings...에 들어가 공유를 켠다.
  7. 재시동 된 VM에서 로그인한다. VM Sharing 설정이 변경되어 다시 로그인하라는 메시지가 뜨면 다시 로그인한다.

영어 서체는 타이포그라피 스튜디오도 엄청나게 많고 매일매일 쏟아지는 양이 엄청나서 무얼 어디서부터 찾고 사용해야 할 지 막막할 때가 많다. 특히 디자인 전공자도 아니고 철저하게 소비의 끝단에 서 있는 나로는 더 막막하다. 이런 저런 서체를 많이 접하고 스토리를 많이 읽다보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 이곳 저곳 자주 둘러보는 편이다. 기회가 된다면 좀 더 자세하게 들여다보고 공부하고 싶은 영역이다.

  • Font Squirrel : 무료로 받을 수 있는 서체들을 제공. 웹폰트 변환 도구 지원.
  • MyFonts : 서체 판매 사이트. 폰트 찾는 도구인 WhatTheFont 제공. 매월 제공하는 뉴스레터가 매우 유익.
  • Fontspring : 서체 판매 사이트. 가끔 유료 서체를 무료로 제공할 때가 있음.

최근에는 웹폰트를 지원하는 브라우저도 많아졌고 웹폰트를 위한 CDN 서비스들이 많이 나온 덕분에 웹에서도 예전보다 훨씬 자유롭게 서체를 선택할 수 있다. 폰트 제작이 몇 배는 더 수고스럽다는 한글 서체는 여전히 적은 분량이긴 하지만 영어권의 서체는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 Google Fonts :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폰트 서비스. 현재 630여개 서체 제공. 자유롭게 사용 가능.
  • Adobe TypeKit : Adobe에서 운영하는 웹폰트 서비스. 개인은 Trial 플랜으로 충분히 사용 가능하며 Portfolio 이상의 경우 데스크탑 서체도 지원.

유의할 점은, 너무나도 당연한 부분이지만, 서체도 저작물이므로 저작권의 보호를 받으며 특히 라이센스를 잘 읽어보고 사용해야 한다. 무료임에도 임베드 장비에 사용할 수 없다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니 라이센스를 꼼꼼하게 읽어보고 사용해야 한다.

쓰고서 읽고 보니 모든 사이트가 상업적(?)이라 좀 그렇다. 공부에 도움이 될 만한 사이트를 더 찾아봐야겠다.

DNSever

오랜 시간 무료로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오던 DNSever의 유료화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이전에 회사 다니며 직접 네임서버를 구축해서 운영해본 경험으로는 정말 자잘하게 손도 많이 가고, 알아야 할 것도 많고 번거로운 부분이 한둘이 아니다. 특히 BIND는 테스트 해보기도 어렵고 책도 어렵고… 그렇다고 웹호스팅 업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네임서버를 사용하기엔 서브 도메인 제한이라든가 나름 불편한 구석이 많았었다.

하지만 DNSever를 알게 된 이후, 회사에서도 DNSever의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사용했을 정도로 항상 애정해오던 웹서비스였다. 이 굉장한 서비스를 200대가 넘는 서버를 통해 무료로 제공해왔다는 사실에 많이 놀랐고, 이번 유료화를 통해 더욱 신뢰도 높은 서비스로 잘 자리 잡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월 10,000 쿼리 미만은 계속 무료로 서비스되며 기존 사용하던 회원들 중 개인과 비영리 단체를 위해 서포터즈 프로그램 신청을 받고 있다.

포스트를 작성한지 시간이 꽤 지났고 더이상 부트캠프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 질문을 하셔도 답변 드리기 어렵습니다. 이 모든 과정은 글에 있는 다른 블로그 포스트 링크와 구글 검색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트캠프를 통해 Thunderbolt 외장 하드에 Windows 8을 설치한 과정을 기록한 포스트다. 관련 글이 많은데 windows에서의 작업 없이 설치한 경우의 글은 없는 것 같아 정리해봤다.

이 글은 상당히 불친절하다. 아래의 준비물과 순서를 보고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끝없는 인내심이 필요하다. 무슨 이야기인지 조금이라도 모르겠다 싶으면 이 글 말고 부트 캠프 없이 외장 하드로 맥에서 윈도우 설치/부팅하기 또는 맥북에어13(2013 하스웰) 부트캠프 윈도우8 설치 포스트를 참고하자.

동기

맥북에어 2012 모델인데 Windows는 딱히 필요 없을 것이란 생각에 128GB SSD로 구입했다. 그러던 중 닷넷 스터디로 인해 Windows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VMWare를 통해 Windows를 외부 하드에서 구동하니 실제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느렸다. 훨씬 빠른 속도의 thunderbolt를 이용한 외장하드를 쓴다면, 거기다 저장 매체를 SSD를 쓴다면 쾌적하게 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LaCie thunderbolt SSD 256GB를 구입해 Windows를 설치하게 되었다.

삽질의 주된 원인

가장 큰 문제는 Windows 설치 시 하드로 인식하느냐, usb로 인식하느냐의 차이가 있다. 부트캠프에서 windows를 usb에 옮겨 담아 실질적으로 windows의 설치 흐름을 따라서 진행하게 되는데 설치를 진행하다보면 파티션을 선택하는 부분에서 USB 또는 firewire로 연결된 장비에는 Windows를 설치할 수 없다는 메시지와 함께 더이상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Windows 콘솔 환경에서 diskpart를 이용해 파티션을 설정해야 한다. 맥에서 포맷해봐야 해당 파티션을 윈도우 설치 시 제대로 포맷되지 않는다.

준비물

  • 선더볼트 지원 외장하드 : 이 하드에 Windows를 설치 할 예정
  • 4GB 이상의 USB 메모리 : 부트캠프를 통해 Windows 이미지를 메모리에 설치
  • 설치할 Windows DVD 또는 ISO 파일 : 부트캠프에서 이미지를 설치할 때 사용
  • Windows Command Prompt에 대한 얕은 이해 (도스 명령어 정도)
  • 강인한 정신 등등

설치 과정

  1. 먼저 맥에서 Bootcamp Assistant를 실행해 windows 이미지를 usb 메모리에 담는다. usb 메모리의 내용은 초기화되므로 주의하고, 또 다른 외장 하드나 맥OS가 설치되어 있는 드라이브를 선택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선택한다.
  2. 이미지를 usb에 담는 과정은 조금 지나면 끝난다. 완료되었으면 맥을 종료하고 다시 켤 때 option키를 눌러 부트로더로 진입한다.
  3. 부트로더로 진입하면 ELI 어쩌고 또는 Windows가 보이는데 뭐가 다른지 모르겠다. ELI로 진입한다.
  4. 그러면 Windows 로고가 나오면서 설치 화면 안내가 나온다. 설치를 바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하단의 Repair 버튼을 눌러 command prompt로 진입해야 한다.
  5. 부트 캠프 없이 외장 하드로 맥에서 윈도우 설치/부팅하기 글의 4. 외장 하드 파티션 나누기 부분을 따라서 파티션 작업을 진행하는데 부팅용 파티션이라는 부분을 다음 순서를 위해 4GB 이상으로 설정한다.
  6. 새로 생성한 파티션 중 부팅용 파티션에 메모리에 들어있던 내용을 콘솔을 통해 전부 복사한다. (4GB가 넘음)
  7. 컴퓨터를 종료하고 USB 메모리를 뺀 후에 다시 option키를 눌러 부트로더 진입, 윈도우 시동을 한다.
  8. 외장 하드의 두번째 파티션에 Windows를 설치한다.
  9. 설치를 완료하고 재부팅해 윈도우에 들어가면 멀티부팅 설정이 되어 있는데 Setup이 아닌 Windows를 선택해 진입한다. 윈도우즈 7 멀티부팅 제거 방법 (8도 같은 방법으로 가능)
  10. Boot Camp Support Software를 내려받아 설치한다.

왜 외장 하드에 메모리 내용을 옮겨야 하나

메모리로 부팅하면 일종의 LiveCD와 같이 동작하는 상태인데 이런 경우 외장하드를 USB나 firewire로 연결한 기기라고 뜨거나 윈도우를 설치할 수 없는 상태라고 설치를 진행하지 못하게 막는다. 해당 하드에 설치 이미지를 복사하면 일반 하드로 인식해서 설치가 진행된다.

부트 캠프 없이 외장 하드로 맥에서 윈도우 설치/부팅하기 글과 다른 부분은 무엇인가

Windows 환경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해당 글에서는 부팅 파티션을 생성해주는 도구를 사용하는데 Windows 환경이 있어야만 한다. 4GB 라는 용량이 낭비 같지만 문제가 생겼을 때 복구용으로 쓸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맥의 디스크 관리자(Disk Utility)로는 파티션 분리가 안되나

맥은 ntfs가 지원되지 않고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내 경우는 ntfs-3g가 설치되어 있는데 디스크 관리자(Disk Utility)에서 ntfs로 포맷이 가능했지만 뭔가 인식이 제대로 안되었다. 그래서 Windows의 command prompt에서 포맷했더니 그때야 제대로 인식이 되었다.

성능 및 호환성

SSD에 선더볼트라서 엄청나게 빠르다. Windows 8.1이라서 성능 점수 표시 부분이 없어져 딱히 인증 할 만한 자료가 없다. 현재 Visual Studio 2012, SQL Server 등 Windows 개발 환경 설정을 모두 했는데 상당히 빠르다.

대부분의 드라이버가 잘 인식되서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화면이 어두워지고 최대 밝기로 올려도 밝아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는데 Windows의 절전 모드 설정을 변경해 해결했다.

트랙패드 역방향 문제가 있는데 아직 해결하지 못했다. Registry를 수정해주면 된다고 하는데 수정해도 적용이 안된다.

결론

비싸더라도 큰 SSD가 탑재된 맥북을 구입하자.

속도가 궁금하면 다음 영상을 참고하자.

[iframe src=”http://www.youtube.com/embed/KoiaKLWfGto” width=”100%” height=”480″]

메인 브라우저로 Google Chrome을 상당히 오래 사용해왔다. OS와 상관 없이 일관적으로 제공하는 수많은 핫키들과 특히, 강력한 개발자도구로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근래들어 불안하다 느껴질 정도로 메모리 사용량도 증가하고 멈추는 경우도 종종 있어서 브라우저를 Apple Safari로 사용해보려고 찾아봤다.

일반 단축키

  • 특정 순서 탭 바로 이동하기 : Cmd + 1,2,3,4확장 설치 필요
  • 바로 전에 닫은 창 다시 열기 : Cmd + Z (크롬서는 Cmd + Shift + T)
  • 앞탭 뒷탭 이동하기 : Ctrl + Tab, Ctrl + Shift + Tab (모든 브라우저 동일)
  • 주소창 바로가기 : Cmd + L (모든 브라우저 동일)
  • Reader 화면 바로보기 : Cmd + Shift + R

개발자도구 단축키

Apple Safari Developer Tools

개발자도구가 더욱 xcode스러워졌다. xcode에서 개발하기 익숙한 사람은 대다수의 UI를 유사하게 차용한 사파리의 개발자도구가 크롬의 도구보다 사용하기 편할 듯 싶다. 이처럼 일관적인 개발 경험을 제공하는 것도 좋은 전략으로 보인다. (이런 면에서 IE의 개발자도구는 개선의 여지가 많다.)

  • 개발자도구 열기 : Alt + Cmd + I
  • 개발자도구 콘솔 바로 열기 : Alt + Cmd + C
  • 인스펙팅 사용하기 : 개발자도구 연 상태에서 Shift + Cmd + C

Pocket extesion 설치

스크랩을 위해 자주 사용하는 Pocket은 Safari를 위한 확장도 제공한다. Pocket 웹사이트에서 확장을 설치할 수 있다.

Safari 확장 관련 사이트

얼마 전 생활코딩에서 즉시실행 익명함수라는 표현을 보고 깜짝 놀랐다. 근래에 JavaScript로 몇번 개발을 해봤다면 예제를 보면 이게 무슨 의미인지 바로 이해할 수 있겠지만 "이건 아무래도 과하지 않은가" 라고 생각했다. 이렇게까지 거창한(?) 이름이 붙는 내용이었나 하고.

개발을 배우다보면 첫눈에 이해하기 힘든 한자 조어들이 꽤 있다. 함수, 변수와 같은 용어도 프로그래밍 강의 첫시간에 나와서 쉽게 쓰는거지 그 자체로 상당히 어려운 용어다. 객체 생성자, 논리 연산자 정도는 어떤 내용을 정의한 단어인지 쉽게 이해(내지는 유추) 할 수 있지만 대리자, 비동기와 같은 단어는 쉽게 내용을 생각해내기 어렵다. 용어의 정의는 모두가 동의할 수 있고 그 정의한 용어가 해당 용례에 대한 대표성을 띌 수 있어야 한다. 용어 함의적이라면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다.

물론 개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대다수의 학문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과도하게 한자로 조어되는 경향이 있다. 한자문화권이기에 이해도 되고, 서양-일본-한국의 경로로 학문이 들어오는 경우도 적잖은 영향이 있을듯 하다. 배경은 뒤로 밀어두고서 단순히 직역해 한자로 옮겨 조어를 만드는게 올바른가에 대해 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영어권 환경에서 일을 하다보니 가장 크게 느끼는, 한국과 다른 점은 용어에 대한 설명이 거의 필요 없을 정도로 쉽게 이해한다는 점이다. 디자이너도, 세일즈도, CS담당자도 모두 개발용어를 거침없이 쉽게 사용한다. 영어권이니까. 그 개발용어 자체로도 별다른 설명없이 알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장점인지 모른다. 그런 언어적 이점에 명확한 설명을 선호하는 문화적 배경이 영어권 IT기업이 가지는 장점이라고 본다. (이와 관련해서는 적자면 내용이 더 많을 것 같아 여기까지)

단어만으로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개발언어 용어를 만들 순 없을까.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는 위에서 말한 것처럼 충분히 매력적이다. 한자어로 단어를 만들더라도 단순 사전식 직역 말고 보다 정서에 맞게 옮길 순 없을까. 앞서 언급한 즉시실행 익명함수를 예로 해보면, 함수란 원래 호출하면 바로 실행되는건데 즉시실행이란 표현도 좀 재미있는듯 하다. 익명함수는 어딘가에 선언 없이 바로 사용하는거니까, 임시함수 실행, 호출 정도가 되지 않을까. (하루종일 고민한 단어가 이 수준이라 아쉽긴 하지만;)


추가. 작성하고 나니 이전에 SICP 번역서가 생각났는데, 쉽게 풀어쓴 용어가 기존에 조금이라도 알고 있던 사람들에게는 요즘말로 멘붕을 야기했다는 후기. 차라리 한자로 쓴, 이전의 용어체계가 훨씬 이해하기 쉽다는 얘기였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는 매력이 있지만, 그런 용어의 정의는 역시 말처럼 쉽게 되지 않는다.

생활코딩의 강의 영상이 1,000건에 다달았다는 소식을 접했다. 밥 로스와 같이 담담하고 차분한 어조로 강의하는 내용들은 제목이 말하듯 누구나 생활에서 코딩을 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 보여주고 있다. 이번에 생활코딩 페이스북 그룹을 통해 공유된, 일종의 회고 영상인 ㅋㅋㅋ전략이 참 인상적이라 포스트 하게 되었다. 해당 영상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볼 수 있다.

http://opentutorials.org/course/488/4108

이고잉님의 그간 수고와 노력, 그리고 통찰을 엿볼 수 있는 내용으로 단순히 이 ㅋㅋㅋ 전략은 생활코딩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스타트업, 서비스 프로바이더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전략이다. 세가지가 모두 중요하나 이 세가지가 한번에 얻어지는 것이 아니란 점도 생각해봐야 한다. 각 영역이 나선형으로 상호작용하며 성장한다는 사실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단 한번의 기획으로 끝까지 가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보완하고 그 보완 과정에서 과감하게 컨테이너를 개편하는 등의 결단, 그리고 징글징글하게(?) 꾸준하게 만들어지는 컨텐츠, 다양한 사연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구성된 커뮤니티. 단순하게 세가지로 집약되는 ㅋㅋㅋ전략은 가장 쉽고 가장 어려운 전략임에 틀림 없다.

2년이란 기간, 지금까지 달려온 생활코딩에 박수와 찬사를 보내며 앞으로 성장할 그 모습을 힘차게 응원한다.

색상을 바꿔요

눈에 편한 색상을 골라보세요 :)

Darkreader 플러그인으로 선택한 색상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